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조회수 : 409
- 작성일 : 2021/09/16 08:11:49
- 필명 : 제임스수석
★개장 전 보는 모닝뉴스★
기업/산업
● 쌍용차 본입찰에 에디슨모터스 등 3곳 참여…SM그룹 불참
● 현대차·LG, 인니 배터리 공장 착공
● 현대차 '캐스퍼' 돌풍…첫날 1.9만대 사전계약
● 내 그랜저 늦게 오는 이유 있었네…동남아 현대차 공장이 멈췄다
● 방통위원장 "카카오 상생안 방향은 잘 잡아…적절한 규제방식 검토"
● SK㈜ "2025년까지 반도체·배터리 소재에 5.1조 투자…에비타 3배↑"
● "너무 비싸" 운임비 폭등에 규제·과징금 위기 맞은 해운업계
● 상반기 카드사 제외 여전사 수익 2조 육박…전년비 50%↑
● 꽉 막힌 대출에 카드론 급증하는데…금융위 "카드론 줄여라" 경고
● 中물량에 생산조정 나선 한국·대만 기업들...TV값 또 오르나
● 신세계, 8개월 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최대 3천억
● 삼성重 '닝보 철수'에 中 현지 반발···삼성전자 '아름다운 철수'와 차이는
● 한화시스템, 자율차 부품 생산 추진
● GS건설, 2차전지 재활용 사업 진출
● 현대차·OCI, 美발전사 제휴…배터리 재활용 현지 전력공급
● 나이스신평 "파운드리업계, 중장기 수익성 유지 어려울 것"
● 방통위는 통신 3사 대표 소집…한상혁 "통신비 인하·5G 투자"
● "세계지식포럼 떴다"…메타버스에 몰려든 아바타들
● 메타버스, 재미와 융합…의료·돌봄 영역에서 좋은 도구 될수있어
● 메타버스 운만 띄웠는데…중국서도 관련주 급등
● 우버·구글 밀어낸 '러시아 테크공룡' 얀덱스
● 애플 아이폰13 '소문난 잔치'
● 인천에 국내 첫 액화수소 플랜트·충전소
● 韓 "반도체 과세 모호…디지털稅 속도조절 해야"
● 여행·항공업 등 고용지원금 한달 더 연장
● SK지오센트릭, 친환경 종이포장재 개발
● 해외로 눈 돌린 카카오, 웹툰·소설에 '올인'
● "운전대 앞유리에 주행정보"…화웨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 신한벽지 인수 본입찰에 KCC등 3~4곳 참여
● 한솔제지, 지속가능성 2년 연속 '글로벌 상위 5%
● "우린 세상에서 가장 큰 헬스클럽"…애플 홈트 대폭 강화했다, 왜?
● 공정위 제재받은 구글 "무료 제품으로 韓소비자 年12조 혜택 받는데…"
● 헬릭스미스 "2023년부터 신약 동시다발 임상"
● 삼성서울병원-KT 손잡고 '로봇 기반 첨단병원' 구축
● 에임메드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내년 내놓겠다"
● 메디톡스, 미생물 치료제 후보물질·기술 리비옴에 기술이전
● 인트론바이오, mRNA 백신 기술 美특허 출원
● 씨젠, 임직원에 자사주 배정
● 롤스로이스 미쉐린3스타…더 비싸게 더 고급스럽게 통했다, 1박 60만원 주말 20주 연속 풀부킹 됐다
● 참치부터 축산물까지…동원, 단백질 식품사 도약
● "가성비 최고"…러시아 SNS서 인기 폭발한 한국 치약
● "대형주 너만은 믿었건만"…반도체 화학 이어 플랫폼 주가 급락에 동학개미 속탄다
● '수소엔진' 장착…날아오른 코오롱그룹株
● 추석 이후 코스피, 아마존을 보면 안다
● 다같은 '위드 코로나株' 아니다…전환단계 따라 수혜업종 갈려
● "골디락스 접어든 삼성전자, 3분기 실적 기대 커진다"
● "현대重 유통물량 9.6%뿐…10만원 넘을 것"
● "원전 확대 불가피"…우라늄株 급등
● 마카오 도박 규제 우려…美 카지노株 급락
● 에코프로비엠·SKC 등 하이망간株 주목
● 수시채용 시대…취업 플랫폼株 뜬다
● 해외주식 소수점거래 3년간 1조5천억
● 박스피 전망에도 전문가 추천 잇따른다…올 161% 오른 종목은?
● 신세계프라퍼티-코람코리츠 손잡고…도심주유소, 물류거점으로 개발한다
● 아이폰13 기대 이하? LG이노텍 5% 주르륵
● '낙하산 논란' 성장금융, 16일 임시주총 전격연기
● 플랫폼·스팩 공모엔 뭉칫돈, 식품 관련株들은 흥행 저조
● 더존비즈온 이달 주가 22% '쑥'
● "수수료 낮추고, 출사표 내고"…운용사, ETF 강화하는 이유는?
경제/증시/부동산
● 8월 취업자 52만명 늘었지만…양질 일자리는 되레 줄어
● 2분기 기업 매출 18.7%↑ '사상 최대'
● "유동성 파티 끝났다…내년 자산거품 꺼진다"
● 소상공인 대출 만기, 내년 3월까지 재연장
● 은행권 "이자 유예땐 모럴해저드 불보듯"
● 국민은행, 주담대·전세대출 금리 열흘 만에 또 인상
●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외 중소거래소, 내일부터 '원화' 안받는다
● 금감원, 우리금융 회장 항소 검토…정치에 휘둘리는 '시장친화' 약속
● 꺾이지 않는 집값…8월 수도권 상승률 13년만에 최고
● 국토장관 "금리인상·대출관리 시너지 땐 더 빠르게 부동산 시장 안정"
● 김총리 "과잉 유동성, 부동산 가격 상승 주요 원인"
● 8월 변동 주담대 코픽스 1.02%…1년3개월만 1% 넘었다
● '집값 잡기' 다급한 정부…非아파트 규제 푼다
● 신규 단지 분양가 책정 때 규모 비슷한 인근 시세 반영
● 오세훈 "내년 투자전담 기관 서울투자청 설립…'글로벌 톱5' 도시로 도약 기반 닦겠다"
● 서울아레나 내년 착공…동북권 균형개발 잰걸음
● '강남 뉴타운' 마천4, 프리미엄 브랜드 들어서나
● 광교 '로또 청약'에 3만4537명 몰려
정치/사회/국내 기타
● 윤석열 "내가 승리카드" vs 홍준표 "尹 악재만 남아"
● 어대윤일까 무야홍일까…국민의힘, 대선후보 8인 압축
● 軍, SLBM 발사장면 공개…문 대통령 "北 도발 억지 충분"
● 韓 SLBM 보유국 된 날…北, 동해로 탄도미사일 쐈다
● 왕이, 한국에 '핵심이익 존중' 견제구 던지며 美포위 돌파 시도
● 윤창현 "1153배 수익 가능하냐"…김부겸 "조금 상식적이지 않다"
● 野 "대선개입 박지원 해임하라"
● 박지원-조성은, 8월말에도 만났다…'청부고발' 보도 전 2번 접촉
● "전기·수소차 보조금 기준 통일해야"
● 돈 남아도는 지방교육청, 3400억 뿌렸다
● 문 대통령, 내주 美서 화이자CEO 만난다
● 내년부터 아이 둘만 낳아도 '다둥이' 혜택
● 고용부장관 "직장갑질 끝내야", 네·카 CEO 불러 엄중 경고
● 방통위, SBS 최다출자자 변경 '일단보류'
● 어처구니없는 싸움에 '빵 대란'…파리바게뜨 사장님들 발동동
● "국민지원금 나왔다 한우 먹자"…돈 풀리자 또 소고기 가격 급등했다
국제/해외
● 美 인플레에 실질임금 되레 줄어
● 도시 봉쇄에 홍수까지…中 8월 생산·소비·투자 일제히 둔화
● 아마존도 가세…美 빅테크 '헬스케어 大戰'
● '탈원전 獨' 탄소중립 역주행…석탄발전 의존↑ 비중 1위
● 테슬라·GM 제치고…美 리비안, 전기 픽업트럭 먼저 내놨다
● 코로나發 부동산 급등…전세계 집값 9% 뛰었다
● 日자민당 총재 3파전 압축, 불출마 이시바 "고노 지지"
● 트럼프가 전쟁벌일까 우려…美합참, 中에 2번 전화했다
● 시진핑 만나려다 퇴짜맞은 바이든
● 中 사교육강사도 규제 "시진핑 사상 배워라"
뉴욕 마감
9/15(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68%)/나스닥(+0.82%)/S&P500(+0.85%) 경기 회복 기대감(+), 에너지株 강세(+), 경제지표 혼조
이날 뉴욕증시는 주요 경제지표가 엇갈린 모습을 보인 가운데, 경기 회복 기대감 속 에너지 업체들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68%, 0.85%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82% 상승.
이날 발표된 뉴욕주 제조업지수가 개선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뉴욕주 제조업지수(엠파이어스테이트 지수)는 34.3을 기록해 전월 수치(18.3)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18.6)를 모두 큰 폭으로 웃돌았음. 세부 항목으로는 신규 수주가 기존 14.8에서 33.7로, 출하지수가 4.4에서 26.9로 오르는 등 대부분 항목이 전월 수치보다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남. 한편, JP모건은 올해 S&P500지수 전망치를 4,700p로 100p 상향했고, 내년에는 기업들의 실적 호조로 5,000p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경기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이어갔음.
경기 회복 기대감 속 美 원유재고 감소 소식 등에 국제유가가 3% 넘게 급등한 가운데, 에너지 업체들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반면, 산업생산 지표와 수입물가지수는 부진한 모습을 보임. 연방준비제도(Fed)가 발표한 8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0.4% 증가에 그치며 전월 수치와 시장 예상치를 모두 밑돌았음. 7월 산업생산은 0.9% 증가에서 0.8% 증가로 하향 조정됐음. 시장에서는 허리케인 아이다와 관련한 월말 사업장 폐쇄가 산업생산 증가 폭을 약 0.3%포인트 낮춘 것으로 추정됐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8월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0.3% 하락해 지난해 10월 이후 10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음.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임.
이날 국제유가는 경기 회복 기대감 속 美 원유재고 감소 등에 급등 마감.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15달러(+3.05%) 급등한 72.61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가격은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에도 Fed 금리인상 전망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엇갈린 경제 지표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등에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에너지, 금속/광업, 경기관련 소비재, 화학, 음식료, 자동차, 소매, 경기관련 서비스업, 산업서비스, 운수, 기술장비, 은행/투자서비스, 소프트웨어/IT서비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국제유가 급등 속 엑슨 모빌(+3.37%), 셰브론(+2.12%), 마라톤 오일(+7.67%), 옥시덴탈(+6.09%), 데본 에너지(+7.29%), 체사피크 에너지(+2.09%) 등 에너지 업체들이 큰 폭 상승. 마이크로소프트(+1.68%)는 배당금 인상 및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등에 상승했고, 금리 상승 속 뱅크오브아메리카(+0.75%), 웰스파고(+1.28%) 등 은행주들도 상승. 애플(+0.61%), 아마존(+0.75%), 알파벳A(+1.32%), 넷플릭스(+0.86%), 테슬라(+1.52%) 등 주요 기술주들도 대체로 상승. 반면,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마카오가 도박 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윈리조트(-6.30%), 라스베가스 샌즈(-1.71%), MGM 리조트 인터내셔널(-2.49%) 등 카지노 업체들은 하락.
다우 +236.82(+0.68%) 34,814.39, 나스닥 +123.77(+0.82%) 15,161.53, S&P500 4,480.70(+0.85%), 필라델피아반도체 3,465.76(+0.47%)
오늘의 주요일정 |
· 美) 8월 소매판매(현지시간)
· 고승범 금융위원장, 금융협회장 간담회 예정
· SK이노베이션, 임시 주총 개최 예정
· 유럽종양학회(ESMO) 개최 예정(현지시간)
· 라이트론 거래재개(상장유지 결정)
· 맥스로텍 상장폐지
· 지유온 정리매매(~9월29일)
· 삼성중공업 권리락(유상증자)
· 이수페타시스 권리락(유상증자)
· 바른전자 추가상장(유상증자)
· 아이톡시 추가상장(유상증자)
· 크로바하이텍 추가상장(유상증자)
· EG 추가상장(CB전환)
· 제이준코스메틱 추가상장(CB전환)
· 한글과컴퓨터 추가상장(CB전환)
· 대양금속 추가상장(CB전환)
· EDGC 추가상장(CB전환)
· 비케이탑스 추가상장(CB전환)
· 엔브이에이치코리아 추가상장(CB전환)
· 트루윈 추가상장(BW행사)
· 멜파스 추가상장(BW행사)
· 두올 추가상장(주식전환)
· 루트로닉 추가상장(주식전환)
· 압타머사이언스 보호예수 해제
· 美) 7월 기업재고(현지시간)
· 美) 9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 유로존) 7월 무역수지(현지시간)
· 日) 8월 무역수지(예비치)
[코스피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 | 종목명(종목코드) | 신용비율 |
1 | 두올(016740) | 12.20% |
2 | 대성홀딩스(016710) | 11.90% |
3 | 까뮤이앤씨(013700) | 10.51% |
4 | DSR제강(069730) | 10.49% |
5 | 에이플러스에셋(244920) | 10.28% |
6 | 일신석재(007110) | 10.08% |
7 | 디피씨(026890) | 9.71% |
8 | SK케미칼우(28513K) | 9.44% |
9 |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251340) | 9.33% |
10 | 남선알미늄(008350) | 9.14% |
11 | 한신기계(011700) | 9.03% |
12 | 한솔홈데코(025750) | 8.78% |
13 | 에넥스(011090) | 8.54% |
14 | 써니전자(004770) | 8.41% |
15 | 국제약품(002720) | 8.39% |
16 | 보락(002760) | 8.39% |
17 | 신원(009270) | 8.27% |
18 | 대양금속(009190) | 8.14% |
19 | 팜젠사이언스(004720) | 8.05% |
20 | 부국철강(026940) | 7.98% |
[코스닥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 | 종목명(종목코드) | 신용비율 |
1 | 선광(003100) | 13.73% |
2 | 아이텍(119830) | 12.55% |
3 | 한국전자인증(041460) | 12.40% |
4 | 모헨즈(006920) | 12.25% |
5 | 랩지노믹스(084650) | 11.73% |
6 | 비트컴퓨터(032850) | 11.09% |
7 | 성우테크론(045300) | 11.02% |
8 | 시스웍(269620) | 10.90% |
9 | 에이텍티앤(224110) | 10.74% |
10 | 서린바이오(038070) | 10.62% |
11 | 엠게임(058630) | 10.58% |
12 | 대신정보통신(020180) | 10.52% |
13 | 케이사인(192250) | 10.51% |
14 | 빅텍(065450) | 10.35% |
15 | 디케이앤디(263020) | 10.34% |
16 | 대주산업(003310) | 10.32% |
17 | 대성파인텍(104040) | 10.32% |
18 | 에이텍(045660) | 10.18% |
19 | 삼일기업공사(002290) | 10.16% |
20 | 대아티아이(045390) | 10.07% |
![]() |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제임스수석 | 2021/09/15 |
![]() |
★이재상과 함께보는 오전장 테마동향★ | 제임스수석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