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조회수 : 519
- 작성일 : 2021/08/11 07:46:29
- 필명 : 제임스수석
★개장 전 보는 모닝뉴스★
기업/산업
● 배터리 분사에 SK이노 디스카운트 우려…주주 달래기 나올까
● LG전자·LG화학, GM 볼트 리콜 충당금 총 3천256억원 설정
● 현대중공업 증권신고서 제출…최대 1조800억원 조달
● 文대통령, SK바사 임상 승인에 "국산 백신 상용화 기대"
● '370조' 투입 준비된 삼성…파운드리서 메모리 신화 시동 걸었다
● 반도체 공급난에 8인치 파운드리 부활
● 스타렉스·BMW 6시리즈 등 35개 차종 2만8천946대 리콜
● '가격인상 안된다' 정부 간곡한 만류에도 원유가 인상 초읽기
● 효성 먹여 살리는 스판덱스… 하반기에도 없어서 못 판다
● KT "케이뱅크, 2023년 IPO 추진…MZ세대 락인에 주력"
● 통신 3사, 5G·신사업 특수에 2분기 연속 합산 1조원대 이익
● '공모주 신화' 흔들…크래프톤 상장 첫날 공모가 밑돌아
● "달 탐사선 쏘아올리겠다"…한국형 발사체 도전장 KAI 생산현장
● "제2 매그나칩 막자"···정부 승인없이 반도체·백신기업 못판다
● 한국 찾은 애플카 실무진, 'K배터리·전장' 택할까
● 기술이냐 가격이냐… LG·CATL '배터리 1위' 고지전
● K컬처의 진화…이젠 '한류 인사이드'다
● 韓·中·日 1만여명 참여한 오디션…美기획사 통째 인수도
● 티맵모빌리티, 프리미엄 운전대행 '버틀러'와 MOU 체결
● '탄소중립' 열쇠 CCU기술…韓, 걸음마도 못뗐다
● 현대중공업의 플랫폼 기업 변신…정기선이 이끈다
● 고철값 더 쳐준대도 폐선 대신 중고선…운임 상승에 인기
● 안방 1위 삼성, 글로벌 5G 안드로이드 폰 시장서는 4위
● 삼성의 폴더블 야심…'갤럭시Z폴드3·Z플립3' 베일 벗는다
● 갤럭시 워치용 AP도 '5나노'로 만든다
● LG화학 中 배터리 공장, 100% 재생에너지로 가동
●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배터리 캐파 확대…100GWh 목표
● 포스코인터, 해외 자원영토 확대…말레이서 '알짜 가스전' 또 찾는다
● 매각 앞둔 한온시스템, 흑자 전환
● 커넥티드카 420만 시대…"규제가 韓 경쟁 발목 잡아"
● KAI, 해양경찰청에 수리온 헬기 2대 공급
● KAI, 3년만에 완제기 수출했지만… 하반기 전망은 여전히 먹구름
● 'LG 채널' 무료 시청 콘텐츠 대폭 확대
● 자동차-조선도 "메타버스"… 가상 설계-주행 척척
● 엔씨, 신작 '리니지W' 조기출격…글로벌 흥행 노린다
● 네이버, 카페24 최대주주로…지분 15% 확보
● LG유플러스, 음원 서비스 스포티파이와 독점 제휴
● 반도체는 없고, 통상임금·직고용 부담 늘고…한국GM '3중고'
● 네이버, 교육용 노트북 '웨일북' 첫선
● "통화 내용을 문자로 바꿔줘요" …카카오 초기 멤버들, 일냈다
● 김재우 쓰리세컨즈 대표 "자율주행 레이싱카 2~3년 안에 내놓겠다"
● 日 사로잡은 동원F&B '리챔', 출시 석달만에 40만개 팔아
● KT&G 전자담배 '릴' 해외 10개국에 수출
● 셀트리온, 코로나 치료제 호주서 임상 시작
● 마이크로바이옴, 이젠 바르세요
● 약효 오래가는 주사제 만든다…삼양홀딩스-지투지바이오 제휴
● "3분 만에 '맞춤형 화장품' 뚝딱"…연 매출 15억 대박났다
● 정유경의 승부수…신세계백화점에 1조 투자
● 11번가의 큰 그림?…롯데쇼핑과 '밀월' 시작한 이유는
● 코스피 안착한 PI첨단소재, 실적 '축포'…주가 고공행진
● '보톡스 1위' 휴젤, 영업이익 59% 증가
● KTB운용, 5500억 美 임대주택 펀드 조성
● 삼성자산운용, 국내 최초로 관리자산 300조시대 '활짝'
● 다이어트붐 타고 '랭킹닭컴' 신고가 행진
● '크래프톤 굴욕' 남 일 아니다…상장 앞둔 기업들 '초긴장'
● 롯데렌탈 공모 마무리…일반청약 경쟁률 65대 1
● 하늘길 다시 열리나…가장 먼저 시동 건 항공부품株
● 이재용 가석방 안 통했나…삼성그룹株 일제히 '내리막'
● 돌아오는 이재용···삼성SDI, 미국 투자 마지막 퍼즐 끼울까
● 1세대 이커머스 '다나와', 매각 자문사 NH證 선정
● '곰표맥주' 세븐브로이 대표, 소액주주 지분 헐값매입 의혹
● ETF 눈부신 성장, 올해 10조 뭉칫돈..1조 ETF도 '봇물'
● 금융 대장주 내줬지만…카뱅 투자한 KB금융, 2조 잭팟
● 넷마블, 카카오뱅크 지분 1.8% 매각…시세 차익 3900억 벌어
경제/증시/부동산
●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도세에 3240선…나흘 연속 하락
● 카뱅·크래프톤에 '몰빵'…코스피 거래대금 20%, 3일째 쏠렸다
● 기관투자자 상승에 베팅했는데…개미 '곱버스' 쓸어담았다
● 법원 "거래소, 코인 상장폐지 결정권 있어"
● 최대 코인거래소 바이낸스, 한국어 서비스 돌연 중단
● 3년치 연봉을 빚으로 끌어쓴 30대, 금리인상 땐 최대 충격
● 부동산·증시 호황 덕에…국세 49조 더 걷혔다
● "한 단지에 전셋값 천차만별" 임대차법이 낳은 다중가격...시장 혼란 가중
● 與, 공공임대 입주민에 월세 60%→보증금 전환 지원
● 토지소유상한 이익환수강화…與경선 부동산 反시장 공약 쏟아진다
● "집값 오른게 우리 탓인가"…공기업 주택대출 규제
● 잠실5단지 '3년 걸림돌' 교육영향평가 통과
● 일원동 '개포한신' 사업시행인가…대청역 인근 498가구로 재건축
● "전세보증보험 가입했는데...돈 못받아 길거리 나앉게 생겼습니다"
● 서울 非아파트 4가구 중 1가구는 2030이 매수
● "저는 자격될까요?"…강남 15억 로또, '역대급 줍줍' 시작됐다
● "22억, 18억" 시세보다 7억 올린 '배짱 매물' 왜
정치/사회/국내 기타
● 수도권 한달째 4단계…관광업계 여름 휴가철 특수 '실종'
● '우려가 현실로' 결국 2천명대까지…더 시급해진 백신접종 속도전
● "가능할까"...정부, 이번주 모더나 방문…삼바 위탁물량 확보 나선다
● 돌파감염 한달새 14배 급증…모더나 펑크에 '해결책' 부스터샷 멀어져
● "여행도 출장도 다 틀어져"…2차접종 2주 연장에 2400만명 혼란
● 토종백신 첫 최종임상 돌입…성공해도 물량 상당수 해외로 나간다
● 한미연합훈련 사실상 시작…北, 남북 연락채널 수신 거부
● 美 국무부 "한미연합훈련 방어적…북한에 적대 의도 없다"
● 北 김영철 "한미, 안보위기 시시각각 느끼게 해줄 것"
● "누구나 최대 1천만원 대출"…이재명 이번엔 '기본금융'
● 尹, 정책자문단 띄워 勢과시…文 북핵 총괄 이도훈 합류
● '자녀 입시비리·사모펀드 의혹' 정경심 오늘 2심 선고
● 與 언론법 협의 시늉만…19일 강행 처리 예고
● 여야 합의로 2030년 온실가스감축 상향안 법률로 구체화한다
● 법도 절차도 무시한 채…폭주하는 與 '을지로위원회'
● '간첩혐의' 충북동지회…北지령따라 포섭 시도
● 서울시, 하반기 수소차 475대 구매보조금 지원
● 7%나 빗나간 정부의 엉터리 전력수요 예측
● 脫원전 밀어붙이려 수요 일부러 낮춰 잡았나
● 세월호 9번 조사했지만…조작 증거는 없었다
국제/해외
● 美, 람다변이 확진자 3주만에 1000명 넘어
● 英 전문가 "코로나 집단면역 불가능…중증 치료 집중해야"
● 중국도 델타도 심상찮다…2.6% 주저앉은 유가
● 골드만삭스·JP모간 등 월가 IB, 中 성장률 전망 일제히 하향
● 블랙록 "신흥국,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기침체 길어질 것"
● 美 연은총재들 "테이퍼링 가을엔 시작해야"
● 美 "일손 구합니다"…채용공고 1000만건 돌파
● '성추행 스캔들' 쿠오모 뉴욕주지사 사퇴…"정략적 공격" 반발
● 마트에서 장보고 치료받고...헬스케어 리테일이 뜬다
● 올 상반기에만 87조원…日 기업 M&A 사상 최대
● 日 스가, 연임 '적신호'…내각 지지율 잇따라 최저
● 도쿄올림픽 흥행 참패…시청률 리우때 반토막
● 탄소상쇄권 얻으려 숲 조성한 기업들, 산불에 '눈물'
● "기후변화, 이제 시작…나빠질 일만 남았다"
● 美빅테크 "코로나 끝나도 전면출근 없다"
● 中언론 "악성종양" 비난 열흘만에… 홍콩교사노조 해산
뉴욕 마감
8/10(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46%)/나스닥(-0.49%)/S&P500(+0.10%) 1조 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 법안 상원 통과(+), 코로나19 우려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된 가운데, 코로나19 우려가 지속된 영향으로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0.46%, 0.10% 상승해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49% 하락.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되면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美 상원은 이날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을 통과시켰음.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의회에 요청한 4조 달러의 초대형 예산안 중 일부에 해당하며, 도로, 교량, 수도, 광대역 통신 등에 투자하는 법안으로 5,5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다만, 이번 법안이 美 하원을 통과하려면 여름 휴회를 거쳐 9월 중순 이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이 나머지 3조5,000억 달러 예산안까지 하원에서 함께 처리하길 원하고 있어 인프라 법안이 최종 발효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코로나19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 뉴욕타임스 집계에 따르면,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이날 기준 7일 평균 하루 12만4,470명으로 전일의 11만명대에서 또다시 증가했음. 美 국방부는 다음 달 15일까지 미군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는 방침을 확정하기로 했으며, 워싱턴주는 모든 의료 관련 종사자들에 10월18일까지 백신 접종을 마치도록 요구했음. 美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프랑스와 이스라엘, 태국 등 7개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가장 높은 4단계로 상향했음. 한편, 높은 백신 접종률을 나타내고 있는 이스라엘에서는 신규 확진자 수가 6개월래 최대인 6,275명으로 증가해 추가적인 방역 조치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음.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대체로 부진한 모습. 美 노동부가 발표한 2분기 비농업 부문 생산성은 전분기대비 연율 2.3%(계절 조정치) 증가해 전월 수정치와 시장 예상치를 모두 하회했음. 전미자영업연맹(NFIB)이 발표한 7월 소기업 낙관지수는 99.7로 전월의 102.5에서 하락했으며, 시장 예상치도 밑돌았음.
이날 국제유가는 美 상원 인프라 투자 법안 통과 소식 등에 강세.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81달러(+2.72%) 상승한 68.29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가격은 인프라 투자 법안 상원 통과 및 CPI 대기 속 테이퍼링 기대 등에 약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CPI 발표를 앞두고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소폭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소매, 화학, 자동차, 에너지, 경기관련 소비재, 금속/광업, 운수, 음식료, 산업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은행/투자서비스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기술장비 등 일부 업종은 하락. 종목별로는 美 금리 상승 속 골드만삭스(+2.02%), 뱅크오브아메리카(+1.87%), 웰스파고(+2.01%) 등 은행주들이 상승했고, 국제유가 반등 속 엑슨모빌(+1.71%), 셰브론(+1.83%), 마라톤오일(+4.48%) 등 에너지 업체들이 상승. 반면, AMC엔터테인먼트(-6.07%)는 예상보다 적은 손실을 발표한 가운데 장중 급등하기도 했지만, 하락 전환하며 장을 마감. 전일 17% 넘게 급등했던 모더나(-5.72%)는 차익실현 매물 속 하락했고, 애플(-0.34%), 마이크로소프트(-0.66%), 아마존(-0.63%), 페이스북(-0.13%), 알파벳A(-0.08%), 넷플릭스(-0.79%), 테슬라(-0.53%) 등 주요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
다우 +162.82(+0.46%) 35,264.67, 나스닥 -72.09(-0.49%) 14,788.09, S&P500 4,436.75(+0.10%), 필라델피아반도체 3,358.87(-1.20%)
오늘의 주요일정 |
· 원티드랩 신규상장 예정
· 美) 7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MSCI 분기 리뷰(현지시간)
· 파키스탄, 미·중·러와 아프가니스탄 평화 및 탈레반 사태 논의 예정(현지시간)
· 갤럭시 언팩 행사 개최 예정(현지시간)
· 한국거래소, 코스닥 온라인 글로벌 IR 개최 예정
· 공정위, LG생활건강 상대 갑질 쿠팡 제재심의 예정
· 에어프레미아, 김포-제주 노선 취항
· 카페24, 페이팔·엑심베이와 협력 웨비나 개최 예정
· 쉐보레, 2022년형 볼트 EUV 출시 예정
· 7월 금융시장 동향
· 월간 재정동향
· 7월 고용동향
· SK텔레콤 실적발표 예정
· CJ프레시웨이 실적발표 예정
· 엔씨소프트 실적발표 예정
· 넷마블 실적발표 예정
· 위메이드 실적발표 예정
· 위메이드맥스 실적발표 예정
· 파라다이스 실적발표 예정
· 동양생명 실적발표 예정
· 케어젠 실적발표 예정
· 럭슬 상장폐지
· 아이원스 거래재개(상장적격성 실질심사대상 제외 결정)
· 팍스넷 정리매매(~8월20일)
· 엘앤에프 추가상장(유상증자)
· 폴라리스웍스 추가상장(CB전환)
· 디티앤씨 추가상장(CB전환)
· 엠투엔 추가상장(CB전환)
·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 美) 이베이 실적발표(현지시간)
· 유로존) 7월 장기금리통계(현지시간)
· 독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확정치(현지시간)
· 日) 7월 광의통화(M2)
· 日) 7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코스피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 | 종목명(종목코드) | 신용비율 |
1 | 콤텍시스템(031820) | 12.16% |
2 | 대성홀딩스(016710) | 11.81% |
3 | 까뮤이앤씨(013700) | 10.87% |
4 | 한솔홈데코(025750) | 10.74% |
5 | 팜젠사이언스(004720) | 9.88% |
6 | 에이플러스에셋(244920) | 9.79% |
7 | 디피씨(026890) | 9.71% |
8 | 남선알미늄(008350) | 9.65% |
9 | 써니전자(004770) | 9.31% |
10 |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251340) | 9.19% |
11 | 금호에이치티(214330) | 8.89% |
12 | 한신기계(011700) | 8.87% |
13 | 한창제지(009460) | 8.79% |
14 | 일신석재(007110) | 8.65% |
15 | 보락(002760) | 8.59% |
16 | 서원(021050) | 8.49% |
17 | 에이프로젠 MED(007460) | 8.15% |
18 | 에넥스(011090) | 8.14% |
19 | 영화금속(012280) | 7.97% |
20 | 광명전기(017040) | 7.97% |
[코스닥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 | 종목명(종목코드) | 신용비율 |
1 | 선광(003100) | 13.10% |
2 | 에스넷(038680) | 11.49% |
3 | 케이사인(192250) | 11.40% |
4 | 조광ILI(044060) | 11.33% |
5 | 에프엔에스테크(083500) | 11.31% |
6 | 프럼파스트(035200) | 11.25% |
7 | 비트컴퓨터(032850) | 11.03% |
8 | 서린바이오(038070) | 10.83% |
9 | 큐브엔터(182360) | 10.79% |
10 | 시스웍(269620) | 10.71% |
11 | 대주산업(003310) | 10.64% |
12 | 켐트로스(220260) | 10.47% |
13 | 지엔원에너지(270520) | 10.42% |
14 | 랩지노믹스(084650) | 10.32% |
15 | 파워넷(037030) | 10.20% |
16 | 바이오스마트(038460) | 10.17% |
17 | 경남스틸(039240) | 10.10% |
18 | 와이엠티(251370) | 10.01% |
19 | 링네트(042500) | 10.00% |
20 | 지니틱스(303030) | 10.00% |
![]() |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제임스수석 | 2021/08/10 |
![]() |
★이재상과 함께보는 오전장 테마동향★ | 제임스수석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