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조회수 : 537
  • 작성일 : 2021/08/10 18:37:25
  • 필명 : 제임스수석

 

 KAKAO TALK 카톡방 입장(클릭)

입장코드: 8888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국내증시, 8/10 코스피·코스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코로나19 확산, Fed 테이퍼링 가능성 재부각 등에 하락… 코스피 -17.23(-0.53%) 3,243.19, 코스닥 -7.93(-0.75%) 1,052.07

● 원/달러 환율, 글로벌 달러화 강세 지속 등에 상승... +5.5원(+0.48%) 1,149.8원

● 아시아 증시, 중국(+1.01%), 일본(+0.24%), 홍콩(+1.23%), 대만(-0.92%)

● 신규확진 1540명, 또 요일별 최다…비수도권 44.6% 최고치

● 확진자 중 73.1%가 델타 변이…전주 대비 11.6%포인트 증가

● 하룻밤 새 9명 사망 '최다'…위중증 환자도 '급증'

● SK바이오사이언스, K백신 최초 임상 3상 시작…AZ백신으로 비교임상

● 미 CDC, 프랑스·이스라엘 등 7개국에 '여행 매우위험' 경보

● 美코로나 사망자, 2주만에 2배 증가…中도 코로나 확산에 이동통제

● 中 '델타쇼크'에 글로벌IB들 성장전망 하향

● 미중, 남중국해 충돌 우려 속 유엔서 또 기싸움

● 美 기대인플레 '역대 최고'…일각서 "연준 이미 늦었다"

● 바이든 행정부, 4000조 인프라 예산 단독 처리한다

● 지구온도 1.5도 상승, 10년 앞당겨졌다..."기후변화, 미래 문제 아닌 현안"

● 北김여정 "한미훈련, 반드시 대가 치를 것.. 절대적 억제력 강화"

● 남북, 김여정 한미훈련 비난에도 연락사무소·군통신선 정상가동

● 외신, 이재용 행보 분석…"M&A 속도"vs"경영복귀 불분명"

● 크래프톤, 상장 첫날 공모가 하회했지만…게임주 '왕좌' 등극

● 사흘만에 꺾인 카카오뱅크, 9%대 '뚝'…하룻새 시총 3.4조 줄어

 

 

기업/산업

 

● '국산' 코로나19 백신 눈앞에…모더나 수모 딛고 '주권' 확보할까
●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원"…보건연구원, SK바이오 등과 협약
● 기아는 파업투표·GM은 쟁대위…車업계 임단협 '난항 예고'
● "국내 수소 전지 시장 年 21% 성장...부품 국산화는 과제"
● 작년 5조 적자서 올 상반기 4조 흑자로…탈정유 외친 정유4사, 하반기도 '맑음'
● 올해 두 번째 랠리 시작되나…"비트코인, 10만달러 간다"
● 식자재업계 2분기 실적 개선... 하반기 전망은 '안갯속'
● 이커머스 중소업체 매각 잇따라…업계 재편 급물살
● 코로나에도 국내 온라인 숙박 플랫폼 결제 역대 최대
● 2분기 5G 안드로이드폰 1위는 샤오미…삼성은 4위
● 주춤한 2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삼성전자, 점유율 73%로 1위
● 'D-1' 개봉 앞둔 '갤럭시 언팩'… 폴더블로 스마트폰 왕좌 다질까?
● 삼성, 또 '세계 최초'… 5나노 기반 웨어러블 프로세서 출시
● 풀려난 이재용, 인텔·TSMC 거센 도전 대규모 투자 나설까
● 고용부, SK하이닉스 근로기준법 위반 적발
● 삼성SDI, 미 자동차 '빅3' 스텔란티스와 손잡는다
● LG화학, 중국 배터리소재 공장 100% 재생에너지로 가동
● 셀트리온, 코로나19 '흡입형 렉키로나' 호주 1상 IND승인
● '어닝 서프라이즈' KT, 2분기 영업익 4758억…전년比 39%↑
● 동국제강 "지난해 고철 재활용으로 철강재 350만t 생산"
● 한국타이어, 전기차 전용 '키너지 EV' 18·19인치 출시
● 넥센타이어, 기아 전기차 'EV6' 신차용 타이어 공급
● 네이버-카페24, 1300억 규모 지분 스와프...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 LGU+,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와 독점 제휴 체결
● KT&G 전자담배 '릴', 해외진출 1년 만에 10개국 돌파
● 포스코인터, 말레이시아 해상광구 탐사운영권 확보…"제2 가스전 만든다"
● 한국정보인증-SK텔레콤, PASS 인증서 발급 시스템 위한 협력 체결
● 휴젤, 2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59%↑…보톡스·HA필러 덕
● 컴투스, 컴퍼니 빌더 '게임체인저'에 투자…최대주주 등극
● 우리금융, 우리금융캐피탈 100% 완전자회사 편입 완료
● 1세대 이커머스기업 다나와 매각…'롯데' 유력
● 시스웍, 20분 내 코로나19 확인 항원진단키트 식약처 허가
● 바이오리더스, '코로나 변이 백신' 국제특허 출원
● 퓨쳐켐, 뇌종양 진단 신약 임상 0상 결과 논문 글로벌 핵의학 학술지 게재
● 러시아 스푸트니크 백신 기술이전 총책임자, 휴온스글로벌 방문
● 베스파 일본법인 하이브, SEGA의 '샤이닝포스' IP 라이센스 계약 체결
● 법원, 업비트 손 들어줬다…'피카' 상장폐지 결정은 "투자자 보호"
● 크리스탈지노믹스, '아이발티노스타트' 코로나19 생존율 2배 증가 확인
● 신라젠, 과학자문위원회에 리차드 바일 교수 영입
● 프리시젼바이오, 검사기 기반 코로나 항원진단제품 국내 승인
● 디앤디플랫폼리츠 청약 경쟁률 36대 1…증거금 1.6조
● 차백신연구소, 9월 코스닥 상장 추진…증권신고서 제출
● 현대중공업, 9월 코스피 상장한다...1조800억 조달

   

 

경제/증시/부동산

 

● 거래소, 코스닥 대표기업 온라인 글로벌 IR 개최..."해외 투자수요 확대 기대"

● 적자 공시 지연해 주가하락 막는 '광복절 연휴 올빼미 공시' 경고음

● 7월 장외채권 중장기 금리 큰 폭 하락...외국인 채권 보유 사상 '최고'

● 한은 "中 통화정책 완화, 韓 금리 하락과 물가 상승 유발"

● 지난해 71개 상장사 감사보고서 '비적정의견'...전년比 6곳 ↑

● 정부, 지난해 예산 6.3조 계획과 달리 사용…5년새 두 배 급증

● 상반기 세수 49조원 늘었지만, 재정수지는 80조원 적자 '허덕'

● 은성수 금융위원장, 5대 금융지주 회장 만나 가계부채 관리 당부

● 신한·하나은행, 코로나 속 무더기 대출 판매 중단… 왜?

● 17일부터 대부중개수수료 최대 1%p 인하

●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9.2%↑…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

● 블랙록 "선진국은 경제재개, 신흥국은 봉쇄…영구적 피해 낼 것"

● 당정, 임대사업자 양도세 혜택 유지…폐지안 철회

● '2030 패닉바잉' 서울 빌라로 옮겨 붙어…4가구 중 1가구 매수

● 이낙연이 판 '잠원 동아' 리모델링 조합설립 인가

● "규제 피해 지방 중소도시로" 지방아파트 초기분양률 역대 최고

 


  

정치/사회/국내 기타

 

● 文대통령 주문한 '추석물가대책' 이달 중 조기 발표...장바구니 물가 급등에 비상

● 윤석열, 지지율 與 이재명·이낙연에 지고 野 홍준표·유승민은 맹추격

● 윤석열 9명, 최재형 8명, 유승민 8명…줄세우기 논란 속 '의원 쟁탈전'

● 경찰, 광복절 연휴 '변형된 1인 시위' 불법간주···"엄정 대응"

● 취득세 과세표준 실거래가로 변경···임대사업자·생애첫주택 등 지방세 감면 연장

● 보건의료硏 "부스터샷 맞으면 코로나19 예방효과↑…변이에도 유효"

● "코로나19 이후 공공자전거 이용 늘어…여가용으로 타는 듯"

● 안도걸 기재차관 "내년 보건의료분야, K-글로벌 백신 허브화에 역점"

● 중기부·경북도, 안동서 '의료용 대마' 산업화 실증

●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200만TEU 최단 기간 돌파… 전년대비 14일 단축

● 국내 '돌파 감염' 30대, 40대, 50대 순으로 발생률 높아

●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완화 논의할까…"당장은 가능성 낮아"

● 북한, 김여정 '한미훈련' 비난 담화 중앙TV로 내부에도 공개

 

 

   

국제/해외

 

● 미국 국방부, 내달 중순까지 미군 백신 접종 의무화 방침

● 美 암호화폐 규제 수정안, 상원 법안 제출 실패

● 美국방부, 中 왕이 '한미훈련 반대' 발언에 "한반도 군비태세 유지"

● 美 안보보좌관, 브라질 대통령에 "5G사업서 화웨이 배제" 요청

● "360만원 자가격리 비용 대납도 검토"…英정부 COP26 성공 위해 총력

● '中 핵잠, 英 항모 추적하다 발각' 보도에 중국매체 반박

● 中관영매체 알리바바에 경고…"韓재벌같은 통제 망상 말라"

● 中 7월 외화보유액, 5년여 만에 최고

● 중국 인민은행 "국내외 상황 따라 정책 강도 조절"

● 코로나 이어 탄저균까지…중국서 탄저병 환자 발생

● 코로나19로 중국 지역경제 격차 확대…"소비지출과 밀접"

● 홍콩매체 "독일 메르켈 퇴장에 중국-EU 관계 칼날 위에"

● 취임후 첫 방미 日안보국장, 블링컨·설리번 연쇄 회담

● 치사율 최대 88% '마르부르크병' 사망자 기니서 확인…WHO "광범위 확산 가능"

● "당국 규제 무섭다"…中 넷이즈 자회사 10억달러 IPO 연기

● 중국 '빅테크' 규제에…미국으로 눈 돌리는 스타트업 투자자들

● 'SK 투자' 美 차량공유업체 투로, 뉴욕증시 IPO 신청서 제출

● 美 최대 영화체인점, 비트코인으로 요금 받는다

● 미 증권당국, 가상화폐거래소 폴로닉스에 110억원대 제재

● 美서 퇴출된 中차이나텔레콤, 상하이증시로···미중 '디커플링' 가속화

● 獨 바이오엔테크, 올해 백신 매출 전망 21조원으로 상향 조정

● 인도 거래소 코인DCX, 자국 암호화폐업계 첫 '유니콘' 됐다

● 베트남 나노젠, 인도 제약사에 코로나 백신 생산기술 이전

 

 

 

   

코스피 마감

 

8/10 KOSPI 3,243.19(-0.53%) 외국인 현·선물 순매도 및 기관 순매도(-), 코로나19 확산(-), Fed 테이퍼링 가능성 재부각(-)


지난밤 뉴욕증시가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지속 및 차익 매물 출회 등에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3,272.44(+12.02P, +0.37%)로 상승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장 초반 하락 전환했고, 낙폭을 키웠음. 3,240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오후 들어 낙폭을 키워 3,232.46(-27.96P, -0.8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장 후반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3,243.19(-17.23P, -0.53%)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이 선물 시장에서 대규모 순매도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코스피시장에서 동반 순매도를 보이면서 코스피지수는 나흘 연속 하락 마감. 외국인은 이틀째 순매도, 기관은 사흘 연속 순매도를 기록. 반면, 개인은 사흘 연속 순매수.

 

글로벌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월 이후 처음으로 하루 평균 10만명을 상회했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도 월요일 기준 최다를 기록하며 확산세가 지속.

 

美 고용지표 호조 속 리치먼드 연은 총재와 애틀란타 연은 총재 등 연준(Fed) 위원들의 테이퍼링 가능성 언급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모습. 시장에서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11일 발표될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금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540명으로 월요일 기준 최다를 기록했고, 비수도권 비중 확진자 비중은 44.6%로 최고치를 기록.

 

SK바이오사이언스(+29.68%)는 금일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시험 계획(IND) 승인에 급등. 금일 신규 상장한 크래프톤(+1.23%)은 고평가 논란 등에 상장 첫날 공모가를 하회했고, 지난주 금요일 신규 상장 후 이틀 연속 급등세를 보였던 카카오뱅크(-9.04%)는 금일 급락 마감.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했고, 대만이 하락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대부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376억, 3,839억 순매도, 개인은 1조5,42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5,982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8,484계약, 8,056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5원 상승한 1,149.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4bp 하락한 1.432%, 10년물은 전일 대비 0.2bp 상승한 1.91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오른 110.30 마감. 금융투자가 5,426계약 순매수. 반면, 외국인은 5,907계약 순매도, 사흘째 순매도를 기록.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오른 127.89 마감.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129계약, 1,46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63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카카오뱅크(-9.04%), SK하이닉스(-3.02%), 기아(-2.32%), LG전자(-2.17%), 삼성물산(-2.11%), 삼성전자(-1.60%), LG생활건강(-1.31%), 현대모비스(-1.28%), 카카오(-1.01%), 현대차(-0.90%) 등이 하락. 반면, SK바이오사이언스(+29.68%), 삼성바이오로직스(+4.18%), 삼성SDI(+2.83%), 셀트리온(+1.50%), 크래프톤(+1.23%), SK이노베이션(+0.83%), LG화학(+0.71%)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은행(-7.63%), 음식료(-1.91%), 금융(-1.45%), 전기/전자(-1.35%), 비금속광물(-1.31%), 건설(-1.28%), 섬유/의복(-1.22%), 운수창고(-1.19%), 운수장비(-1.18%), 유통(-0.89%), 기계(-0.82%) 등이 하락. 반면, 의약품(+5.36%), 의료정밀(+4.30%), 증권(+0.1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243.19P(-17.23P/-0.53%)

 

  

  

코스닥 마감

 

8/10 KOSDAQ 1,052.07(-0.75%)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코로나19 확산(-), Fed 테이퍼링 가능성 재부각(-)


지난밤 뉴욕증시가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지속 및 차익 매물 출회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60.90(+0.90P, +0.08%)로 강보합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장 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낙폭을 확대했고, 오전중 1,048.98(-11.02P, -1.0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후 들어 낙폭을 다소 줄였으나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한 끝에 결국 1,052.07(-7.93P, -0.75%)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 마감. 기관은 사흘째 순매도를 보였고, 외국인도 이틀 연속 순매도. 반면, 개인은 사흘 연속 순매수.

 

국내외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등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됐고, 美 고용지표 호조 속 연준(Fed) 위원들의 테이퍼링 가능성 언급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됐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95억, 1,045억 순매도, 개인은 2,306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알테오젠(-3.41%), 티씨케이(-2.49%), 원익IPS(-2.28%), 에이치엘비(-2.19%), 천보(-1.24%), CJ ENM(-0.93%), 셀트리온제약(-0.78%), 스튜디오드래곤(-0.65%) 등이 하락. 반면, 에스티팜(+2.63%), 엘앤에프(+2.25%), 카카오게임즈(+1.33%), 씨젠(+1.13%), 솔브레인(+0.38%), 펄어비스(+0.14%)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인터넷(-4.95%), 종이/목재(-2.35%), 오락문화(-2.18%), 비금속(-2.14%), 운송장비/부품(-1.66%), 건설(-1.59%), 반도체(-1.48%), 통신장비(-1.47%), 기타제조(-1.39%), 통신서비스(-1.26%), 금속(-1.25%)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류(+0.59%), 의료/정밀기기(+0.40%), 제약(+0.2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1,052.07P(-7.93P/-0.75%)

 

  

 

중국, 일본, 대만 장마감 시황



▶중국 장마감 요약

 

8월10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488.66(-0.17%)로 하락 출발. 장 초반 하락폭을 확대하며 3,477.06(-0.50%)에서 저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하락폭을 만회하며 보합권에서 등락하는 모습. 오후 들어 상승세로 방향을 잡은 지수는 상승폭을 확대하다 장중 고점인 3,529.93(+1.01%)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정부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이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에 상승요인으로 작용. 인민은행은 전일 발표한 '2분기 통화정책 집행 보고서'에서 "온건한 통화 정책을 더욱 유연하고 정밀하게 시행할 것"이라며, "국내외 경제 상황과 물가 추세를 바탕으로 정책의 강도와 속도를 잘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최근 외면 받았던 업종들에 대해 저가 매수세가 이어진 점도 중국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다만,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이어진 점은 중국증시 상승폭을 제한. 전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9일 0시 기준 전국 31개 성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5명 발생했다며, 이 중 94명이 본토 확진자라고 발표함.

 

금일 인민은행은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100억 위안 규모의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매입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복합산업, 음식료, 식품/약품 소매, 은행/투자서비스, 에너지-화석연료, 통신서비스, 보험 업종 등이 상승. 종목별로는 중국건설은행(+1.57%), 중신증권(+1.06%), 중국인수보험(+0.88%), 보리부동산(+0.52%), 중국국제항공(+0.31%), 청도하이얼(+1.91%), 보산철강(+2.32%) 등이 상승.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529.93P(+35.30P/+1.01%), 상해A지수 3,699.68P(+37.03P/+1.01%), 상해B지수 264.30P(+1.04P/+0.39%)

      

  

▶일본 장마감 요약

 

8월10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엔화 약세 영향 등에 소폭 상승.

 

이날 일본 니케이지수는 27,887.03엔(+0.24%)으로 소폭 상승 출발. 상승폭을 확대하다 오전 장중 28,128.61엔(+1.11%)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후 장중 하락전환하며 27,808.54엔(-0.04%)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전환했고, 상승폭을 다소 확대한 끝에 결국, 27,888.15엔(+0.24%)에서 거래를 마감.

 

일본 니케이지수는 엔화 약세 영향 등에 상승하는 모습. 지난밤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 전망이 강화되며 달러가 강세 흐름을 보였고, 이에 금일 엔화는 약세를 보였음.

 

다만,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폭을 제한. 언론에 따르면, 전일 오후 6시30분까지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2,073명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일주일 전 같은 요일과 비교한 일본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지난달 25일부터 금일까지 16일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도쿄도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884명으로 집계된 것으로 알려짐.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제약, 통신서비스, 소프트웨어/IT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보험, 의료 장비/보급, 기술장비, 개인/가정용품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소프트뱅크그룹(+0.90%), 도요타자동차(+0.39%),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1.52%), 도쿄가스(+1.58%) 등이 상승.

 

마감지수 : 니케이225 27,888.15엔(+68.11엔/+0.24%)

 

  

▶대만 장마감 요약

 

8월10일 대만 가권지수는 다우지수 및 S&P500 지수 하락 영향 등에 하락. 4거래일 연속 하락.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17,492.45(+0.04%)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17,524.91(+0.23%)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전환했고, 낙폭을 확대하다 장막판 17,305.06(-1.0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17,323.64(-0.92%)에서 거래를 마감.

 

대만 가권지수는 다우지수 및 S&P500 지수 하락 영향 등에 하락하는 모습. 지난밤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지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하락했음. 이에 금일 TSMC(-0.67%), UMC(-3.39%), 혼하이 정밀(-3.13%) 등 기술주가 하락하며 대만 가권지수의 하락세를 이끌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개인/가정용품, 운수, 금속/광업, 제약, 자동차, 기술장비, 화학, 의료 장비/보급, 경기관련 소비재, 에너지-화석연료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TSMC(-0.67%), UMC(-3.39%), 혼하이 정밀(-3.13%), 중화항공(-5.32%) 등이 하락.


마감지수 : 가권지수 17,323.64P(-161.51P/-0.92%)

  

  

  

★금일 상한가 및 급등주★

 

● 푸드나무(290720) : 2분기 실적 추정치 상회 및 초저평가 해소 진입 분석 등에 상한가

● 바이오리더스(142760) :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 상승 속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예방 백신 'BLS-A01' 국제특허 출원 완료 소식에 급등

● IBKS제14호스팩(351320) : (주)에스에이티이엔지와의 합병 상장예비심사 승인 모멘텀 지속 속 급등

● 바이오니아(064550) :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써나젠, 코로나19 치료제 독성시험 착수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샘씨엔에스(252990) :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에 따른 반도체 중장기 투자 기대감 속 반도체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공간변형기(STF) 국산화 성공 사실 부각 등에 급등

● 씨티씨바이오(060590) : 코로나19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씨티씨백, 반려동물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 모더나 급등 영향 등에 코로나19(모더나) 테마 상승 속 급등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증권가 호평 속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등에 급등

● 대정화금(120240) :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속 SK케미칼과 합작투자계약을 통한 전략적 제휴 체결 부각에 급등

● SK케미칼(285130) : 2분기 실적 호조 및 자회사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등에 급등

● 시너지이노베이션(048870) : 코로나19 테마 상승 및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속 핵심 원료인 미생물 배양 배지 납품 사실 부각에 급등

● 마이크로디지탈(305090) : 코로나19 테마 상승 및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소식 속 SK바이오사이언스에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공급 사실 부각에 급등

● 켐온(217600) :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속 SK바이오사이언스의 비임상(동물시험) 연구 위탁 시험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 나노엔텍(039860) : 코로나19 테마 상승 및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임상3상 시험 계획 승인 소식 속 SK그룹 계열사로 시너지효과 발생 기대감 등에 급등

 

 

  

 

목록보기

이전글 ★장마감 특징종목 및 주요공시 제임스수석 2021/08/10
다음글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제임스수석 20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