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조회수 : 459
  • 작성일 : 2021/08/10 07:51:06
  • 필명 : 제임스수석

  KAKAO TALK 카톡방 입장(클릭)

입장코드: 고객센터 별도문의 1600-5908

 

 

개장 전 보는 모닝뉴스

 

 

  

● 뉴욕증시, 8/9(현지시간)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지속 속 혼조 마감… 다우 -106.66(-0.30%) 35,101.85, 나스닥 +24.42(+0.16%) 14,860.18, S&P500 4,432.35(-0.09%), 필라델피아반도체 3,399.76(-0.36%)
● 국제유가($,배럴), 中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 약세… WTI -1.80(-2.64%) 66.48, 브렌트유 -1.66(-2.35%) 69.04
● 국제금($,온스), 美 고용지표 호전 영향 지속 등에 급락... Gold -36.60(-2.08%) 1,726.50
● 달러 index, 각종 고용지표 호전 등에 강세... +0.17(+0.18%) 92.97
● 역외환율(원/달러), +2.24(+0.20%) 1,147.07
● 유럽증시, 영국(+0.13%), 독일(-0.10%), 프랑스(-0.06%)
● 美 6월 채용공고 1천7만건…역대 최대 경신
● 美 7월 고용추세지수 109.80…석달 연속 개선
● 美 연준서 '조기 테이퍼링' 주장 잇따라…"가을 시작해야"
● 골드만 "美 고용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9월에 100만명 돌파"
● 美 부채한도 협상, 가을로 넘어가나
● 美 상원 민주당, 3조5천억 달러 규모 지출안 공개
● 블랙록 "세계 경제, 실질적이고 광범위하게 재개"
● JP모건 "美경제, 델타 변이 유행에도 바이러스에 덜 취약"
● 배런스 "금가격 플러시크러시…델타변이·테이퍼링에 충격"
● 비트코인, 한때 4만6천달러대 회복…5월 이후 최고
● 美 빅테크 기업들의 새로운 고민거리 '직원 대이동'
● 버크셔해서웨이, 2분기 순이익 7% 증가
● 제프리스, 테슬라 목표주가 850달러로 상향 조정
● WSJ "부동산 시장 호황에 REITs 재유행"
● 美 역레포 시장 유입자금 1조달러 역대 최고…나쁜 신호일까
● 마켓워치 "美 인플레이션 거품, 꺼지지 않을 것"
● '미국판 하림' 샌더슨 팜스, 5조원에 팔리나
● 獨 6월 무역흑자 163억유로…전월치 126억유로
● 中 코로나 확산에 이동통제…검사과정서 전염 사례도
● '미국 압박 직면' 중국·러시아, 합동 군사훈련 시작
● 오후 9시까지 서울 342명 확진…1주 전보다 50명↑
● 이름값 하는 '말복' 더위…전국 곳곳에 소나기

 

 

기업/산업

 

● 카카오뱅크 무서운 질주…상장 이틀만에 시총 '톱10'

● 풀려나는 이재용…삼성전자 대규모 투자·M&A 속도내나

● 형기 60% 채워 기준 충족…경제위기 상황도 고려했다

● 경제계 "이재용 가석방 환영…삼성, 투자·일자리 창출 기대"

● 가석방 이재용 여전히 사면초가…재판·TSMC·인텔에 겹겹 포위

● 2분기 백화점 판매, 최대 증가…슈퍼·잡화점은 최대 감소

● 카페24, 네이버 피인수설에 "자본적 교류 협의 중"

● 주 52시간도, 최저임금도 필요없다…식당 '요리 로봇' 급증한다

● 한화 김동관의 '통 큰 투자'…프랑스 기업에 1조 베팅

● 반도체·백신·2차전지 기술, 해외 유출땐 가중처벌 추진

● 뱅크샐러드에 KT 이어 기아도 100억 투자

● 케이뱅크·토스뱅크도 있다…인터넷은행 '왕좌의 게임'

● "카뱅도, 은행원들도 놀랐다"…신용대출 금리가 연 2.5% 토스뱅크 판 흔든다

● 카뱅 'MSCI 편입'에 뜀박질…"지나치게 고평가" vs "확장성 무한대"

● 年3.6%…시중銀보다 높은 카카오뱅크 마통 이자

● 韓銀 디지털화폐, 갤럭시워치서도 쓴다

● 간편결제부터 자산관리까지…'네이버페이' 앱으로 나왔네

● '페이 공습'에 쪼그라든 체크카드

● 해외여행 막히자…제주 가서 지갑 열었다

● 쌍용차 인수전 새 변수 나타났다…에디슨 모터스, 강성부 손잡고 1조 조달

● "6억 아세안 시장 주도권 잡았다"…현대차 LG엔솔 배터리 합작사 경쟁력 높아진다

● LIG넥스원, 해군 근접방어무기체계 사업 우선협상자 선정

● 백신 맞고 생산 재개한 기아 '임협 파고' 넘나

● 기아, 핀테크 기업에 100억 투자…커넥티드카 등 미래 신사업 포석

● 석유 대신 '이것'…정유 4사 "상반기에만 4조 벌었다"

● 롯데케미칼, 친환경 포장재로 교체

● 롯데렌탈 '자율주행 레벨4' 포티투닷에 투자

● 한컴그룹-NHN '클라우드 동맹'

● 현대차 '스타리아 카카오택시' 도로 달린다

● 삼성, 20만원대 '최저가 5G 폰' 내놓는다…역대급 가격

● 에어컨 있어도 산다…고온다습에 불티나게 팔리는 생활가전

● 신세계, 명품 앞세워 대전 입성…갤러리아, 매장 리뉴얼로 '반격'

● 대명소노그룹 '펫 호텔'로 유럽 진출

● 하룻밤에 800만원도 기꺼이 쓴다…코로나에 안전한 휴가지로 각광 '풀빌라 패키지'

● 제놀루션 '꿀벌 흑사병' 치료제 임상 승인

● 엘앤씨바이오가 韓대표 가치주펀드 투자받은 까닭

● 테라젠, 유전자분석 항암제 선별 기술특허

● 샤페론 아토피 치료제, 임상 2상서 효과 확인

● "PER 200배 넘었다"…카뱅, 셀트리온 제치고 단숨에 시총 9위 앞날은

● 현대차 사내벤처 출신 'AI매틱스' 투자유치 성공

● CJ제일제당, 체질개선 통했다…2분기 실적 '사상 최대'

● 오프라인 앞서가는 CU…온라인 투자나선 GS25

● "바이오주 다시 보고 게임주 잠시 접어야" 한투증권 BBIG 투자 전략

● HK이노엔, 코스닥 데뷔…공모가 대비 15% 상승

● 주식 대신 투자했더니 22% 수익…'박스피' 대안 재테크 뭐길래

● "증권·지주사…실적 추정치 오른 업종 보라"

● "공모주 '슈퍼위크' 고맙다"…증권사들, 수백억 수수료 잔치

● 물적분할하는 SK이노베이션…SK배터리 주식 배당할까

● 푸타이라이 급등…"中 2차전지 소재주 유망"

● "델타 변이 퍼진다"…월가 매수 추천하는 대표 종목들

● 물 ETF '물 만났네'…올 수익률 20% 돌파

● '뽀로로 아빠' 아이코닉스,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證

● 현대ENG, 정비사업 수주 1조 돌파

● "못보던 히어로들이 나타났다" 극장가 들썩

 

 

경제/증시/부동산

 

● "이달 반도체 주도 코스피 반격"...대신증권 "원화 강세 진입땐 지수 최고 3380까지 갈 것"

● 거래소 "ETF 시장 개설 19년 만에 500종목 돌파"

● 국내 큰손들 상반기 수익률 약진…"주식투자로 채권 부진 만회했다"

● "라임펀드 투자자 피해 최소화"…대신證, 최대 80% 배상

● '주식 조기교육' 열풍…미성년 계좌, 올해 100만개 돌파

● 싱가포르 해법처럼…블록체인 기술 살리고, 코인상장 깐깐하게

● 세계1위 '코인운용사' 25조원 굴려…국내는 다합쳐도 1조원

● '정권 마지막 해 법칙' 깬 문재인 정부…내년 '600조원 예산시대' 오나

● 음식·숙박업 고용보험 가입자, 코로나로 7월 1만9000명 급감

● 전세난 심해지자…주택임대사업 양도세 혜택 그대로 유지한다

● 실거주 의무 백지화 이어…부동산정책 속속 원점회귀

● 서울시 "땅값 더 달라"…신반포4 분양 차질

● 주택 공급 또 빨간불 켜졌다…신길 가산 이어 미아도 공공개발 철회 요청

● 3기 신도시 등 사전 청약 선호도…하남 교산·고양 창릉·광명 시흥 順

● 포스코·GS, 부산 최대 재개발 맡는다


 

  

정치/사회/국내 기타

 

● 부산 안산 돌파감염 속출…정은경 "고위험군 부스터샷 검토"

● "백신 2차접종이 8주 뒤로 밀렸어요"…당국 "6주 이내로 재조정"

● 모더나 물량 또 펑크…850만회분 중 절반도 안온다

● 정부, 모더나 생산 차질 원인도 파악 못해…"모든 일정 틀어졌다" 분통

● '광복절 집단감염' 또 터지나…12만명 집회 신고

● 확진자 늘어난 美·英·獨, 9월 전면 등교 추진

● 4단계 계속돼도 고3·초1·2학년은 매일 등교

● "대학도 2학기 대면수업 확대"

● 네거티브 휴전 선언에도…'날 선 공방' 이어지는 與 경선

● '중도' 못잡은 與野…대세론 사라진 대선판

● 최재형, 출마선언 닷새 만에 선거법 위반 논란

● '실언' 윤석열 지지율 하락…이재명에 처음 선두 내줬다

● '간첩혐의' 활동가, 지역신문 통해 北에 보고

● 與, 중대재해법 시행령 제정 '더 세게'

● 한미, 연합훈련 사전연습 돌입…본훈련은 16∼26일 예정

● 충청권 메타버스 손 잡는다

 

 

 

국제/해외  

 

● 年0.05% 수익률에 몰린 美단기자금 1000조원

● 원자재값 치솟고 수출은 주춤…中 제조업 성장동력 흔들린다

● 바이든도 못한 '최저임금 인상' 코로나가 했네

● 코로나 매 먼저 맞은 유럽, 백신접종 60% 모범국으로

● '델타충격' 美 하루 확진 10만명

● 르노, 지리와 파트너로 中 시장 복귀

● 바이든 전기차 50% 선언, 시동부터 '덜컹'

● 올림픽 재미못본 스가…지지율 30%선 깨져 최저

● 중국앱 쓰는 한국인 1000만명 넘는다

● "친구 1명 초대 8만원"…中 틱톡, 한국서 노골적 '현금 살포'

● "틱톡, 국가안보 위협"…美·中 모두 칼 빼들어

● "마스크 강제하면 학교 안보내!"…개학 앞둔 美 갈등 고조

● 알루미늄값 10년 만에 '최고'

● 쿠바 경제개혁 '가속'…민간 中企 허용

● 中 '기술굴기'에…日 특허 심사료 29년만에 인상

● 中핑안, 디지털 플랫폼 11개 개발…6억 고객 거느린 공룡 됐다

● 청바지 기업 리바이스도 디지털로 혁신…매출 2.5배 급증

 

 

 

뉴욕 마감

 

8/9(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30%)/나스닥(+0.16%)/S&P500(-0.09%) 코로나19 델타 변이 우려 지속(-), 차익실현 매물(-)

 

이날 뉴욕증시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전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차익실현 매물 등에 0.30%, 0.09%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16% 상승. 한편, 크레디트스위스(CS)는 S&P500지수의 올해 말 전망치를 4,600으로 유지했으며, 내년 말 전망치는 실적 기대에 힘입어 5,000으로 제시했음.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감이 재부각되는 모습. 뉴욕타임스는 이날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월 이후 처음으로 하루 평균 10만명을 웃돌았다고 보도했음.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8일 기준 지난 1주일간 미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하루 평균 11만360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주 전보다 약 112% 급증한 수치로 올해 2월 이후 최대치임. 같은 기간 사망자 수도 하루 516명으로 2주 전보다 거의 두 배 수준으로 급증했음.

중국에서는 주민들에게 이동 시에도 핵산 검사 증명서를 요구하는 등 이동통제에 나서고 있음. 베이징은 중/고위험 지역이 있는 도시의 사람들은 베이징으로 진입할 수 없게 했으며, 코로나19가 확산한 다수 도시와 베이징 간 항공/열차 노선 운행도 잠정 중단됐음.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6%에서 8.3%로 하향했고, 모건스탠리도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7%에서 8.2%로 하향했음.

 

이날 노동부가 발표한 6월 채용공고는 1,007만3,000건으로 집계돼 사상 처음 1,000만건을 넘어섰음. 7월 고용추세지수(ETI)는 109.80으로 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을 이어갔음. 한편, 시장에서는 오는 11일 발표되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주목하는 모습. 7월 CPI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5.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3% 상승해 상승폭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한편,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은 매파적 발언을 이어감.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한 연설에서 "우리는 목표를 향한 실질적인 진전을 위한 길을 가고 있다"며, 더 빠른 테이퍼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음.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인플레이션이 이미 목표치에 도달했고, 고용시장이 개선 속도를 유지한다면 올해 4분기 자산매입 축소가 더 빨리 시작될 수 있다고 예상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中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에 하락.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80달러(-2.64%) 하락한 66.48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가격은 Fed 위원 매파적 발언 등에 약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각종 고용지표 개선 속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에너지, 금속/광업, 경기관련 서비스업, 복합산업, 운수, 은행/투자서비스, 경기관련 소비재, 유틸리티, 소매, 기술장비, 보험, 산업서비스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소프트웨어/IT서비스,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은 상승. 종목별로는 테슬라(+2.10%)가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상향 조정 소식 등에 상승했고, 코인베이스(+8.60%)가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 상승 등에 큰 폭 상승. 모더나(+17.10%)는 호주/스위스 코로나19 백신 승인 소식에 급등했고, 바이오엔텍(+14.97%)은 호실적 발표 속 급등. 타이슨 푸드(+8.69%)도 호실적 발표속 큰 폭 상승. 반면, 국제 유가 하락 속 엑슨 모빌(-1.14%), 셰브런(-1.67%), 마라톤 오일(-1.17%) 등 에너지 업체들이 하락했고, 애플(-0.03%), 마이크로소프트(-0.39%), 아마존(-0.09%), 페이스북(-0.52%), 넷플릭스(-0.11%) 등 대형 기술주들이 소폭 하락.

 

다우 -106.66(-0.30%) 35,101.85, 나스닥 +24.42(+0.16%) 14,860.18, S&P500 4,432.35(-0.09%), 필라델피아반도체 3,399.76(-0.36%)

 

  

 

오늘의 주요일정

 

· 크래프톤 신규상장 예정

· 말복(末伏)

·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 한·미 연합훈련 개최 예정

·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 KT 실적발표 예정

· SK바이오팜 실적발표 예정

· 스카이라이프 실적발표 예정

· 한온시스템 실적발표 예정

· 동아에스티 실적발표 예정

· 강원랜드 실적발표 예정

· 제노레이 실적발표 예정

· 현대퓨처넷 실적발표 예정

· 휴젤 실적발표 예정

· 세화아이엠씨 상호변경(다이나믹디자인)

· 롯데렌탈 공모청약

· 아주스틸 공모청약

· 브레인즈컴퍼니 공모청약

· 삼성중공업 변경상장(감자)

· 에이루트 추가상장(무상증자)

· 보령제약 추가상장(무상증자)

· 컨버즈 추가상장(유상증자)

· 에스에너지 추가상장(유상증자)

·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 웰크론한텍 추가상장(CB전환)

· 지티지웰니스 추가상장(CB전환)

· 자안바이오 추가상장(CB전환)

· 서울식품 추가상장(CB전환)

· 조일알미늄 추가상장(CB전환)

· 세원 추가상장(CB전환)

· 제일제강 추가상장(BW행사)

· 캠시스 추가상장(BW행사)

· 한국파마 보호예수 해제

· 美) 2분기 비농업부문 노동생산성 잠정치(현지시간)

· 美) 7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 독일) 8월 ZEW 경기기대지수(현지시간)

· 日) 6월 경상수지

· 日) 7월 은행대출

· 日) 7월 경기관측보고서

 

        

 

[코스피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종목명(종목코드)신용비율
1대성홀딩스(016710)11.74%
2까뮤이앤씨(013700)11.01%
3한솔홈데코(025750)10.50%
4콤텍시스템(031820)10.50%
5에이플러스에셋(244920)9.84%
6팜젠사이언스(004720)9.76%
7디피씨(026890)9.70%
8일신석재(007110)9.53%
9남선알미늄(008350)9.45%
10써니전자(004770)9.24%
11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251340)9.12%
12금호에이치티(214330)8.80%
13한창제지(009460)8.71%
14한신기계(011700)8.52%
15서원(021050)8.34%
16에넥스(011090)8.25%
17에이프로젠 MED(007460)8.09%
18영화금속(012280)8.03%
19보락(002760)7.84%
20광명전기(017040)7.81%

 

 


[코스닥 빚투(신용비율) 베스트 20 종목]

 

순위종목명(종목코드)신용비율
1선광(003100)13.06%
2시스웍(269620)11.27%
3조광ILI(044060)11.26%
4에프엔에스테크(083500)11.12%
5프럼파스트(035200)11.10%
6비트컴퓨터(032850)10.98%
7큐브엔터(182360)10.86%
8대주산업(003310)10.62%
9랩지노믹스(084650)10.58%
10지엔원에너지(270520)10.43%
11에스넷(038680)10.40%
12파워넷(037030)10.19%
13바이오스마트(038460)10.18%
14성우테크론(045300)10.11%
15와이엠티(251370)10.02%
16링네트(042500)10.01%
17SV인베스트먼트(289080)9.95%
18한네트(052600)9.91%
19지니틱스(303030)9.91%
20제주반도체(080220)9.90%

 

 

     

 

목록보기

이전글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제임스수석 2021/08/09
다음글 ★이재상과 함께보는 오전장 테마동향★ 제임스수석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