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조회수 : 464
  • 작성일 : 2021/08/09 17:36:08
  • 필명 : 제임스수석

 

 KAKAO TALK 카톡방 입장(클릭)

입장코드: 8888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국내증시, 8/9 코스피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사흘째 하락, 코스닥 개인 순매수 속 나흘째 상승, 사흘째 연고점 경신… 코스피 -9.94(-0.30%) 3,260.42, 코스닥 +0.20(+0.02%) 1,060.00

● 원/달러 환율, 글로벌 달러화 강세 속 소폭 상승... +2.2원(+0.19%) 1,144.3원

● 아시아 증시, 중국(+1.05%), 일본(휴장), 홍콩(+0.40%), 대만(-0.23%)

● 신규확진 1천492명, 일요일 기준 최다 기록…34일째 네 자릿수

● 오늘부터 18∼49세 사전예약…3분기 대규모 접종 스타트

● '반 토막'난 8월 모더나 공급량… 당국 "mRNA 접종간격 4주→6주"

● 韓 백신 접종 완료율, OECD 국가 중 '꼴찌'

● '부스터샷 선행국' 이스라엘서 "부작용, 2차 때와 유사 또는 더 적어"

● 일본서 '람다 변이' 첫 확인…3차 접종도 검토

● 中 델타변이 확산에 베이징 진입금지…204개 위험지역 지정

● 美 단기자금 시장에 하룻밤새 몰린 돈 1000조원…불안감 확산

● 웰스파고 "美 7월 고용發 테이퍼링은 시기상조"…왜?

● 미중, 홍콩 놓고 또 충돌…中, 바이든 발언 "터무니 없어"

● 중국 7월 생산자물가 9% 상승…원자잿값 급등 여파 지속

● 중국 7월 소비자물가 1%…목표치 하회

● 바이든의 '친환경 압박'…美 연비기준 상향·전기차 본격 개발

● 아람코, 순익 4배 껑충에 증산 시동...유가 전망은

● 'MSCI지수 편입' 카카오뱅크 급등…시총 9위 안착

 

 

기업/산업

 

● 장기화된 거리두기에 컨택株 차별화…편의점 버티고 백화점 울고
● 폭염·거리두기·고공 물가에 7월 간편식 판매 6배 증가
● 7월 車보험 손해율 악화···차량 이용 증가 등 여파
● 2금융권도 핀테크 공세 맞서 은행권과 공동 전선망 구축
● 은행 주도 대출 플랫폼에 카뱅·토스 불참, 케뱅은 참여키로
● 카드사, 개인사업자 CB업 본격 확장…600만 잠재고객 노린다
● 4만5000달러 뚫은 비트코인… 한은 "법정화폐 될 가능성 낮다"
● 올 2Q 글로벌 무선이어폰 프리미엄 전체 46% 차지…삼성 올 1Q 18% 점유율
● 갤Z폴드3·플립3 사진 대거 유출 "화면 분할·S펜, 이렇게 쓴다"
● 삼성전자, IM부문 경영진단 1개월 더 연장…"사장단 회의도 연기 전망"
● 우주선 닮은 스타리아, 택시로 나온다…현대차·카카오 협업
● 현대차 SUV '인도 점유율' 선두…디젤로 달린다
● 현대차, 아산공장 '전기차 생산' 설비 공사 완료…생산 재개
● 기아, 뱅크샐러드에 100억 원 투자…"모빌리티 분야 데이터 기술 협력"
●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혁신기술 모여라"…'BIC 2021' 개최
● LG전자 英최대 경기장 웸블리 스타디움에 초대형 LED 사이니지 설치
● 카카오, 택시 이어 자전거 요금도 인상…1시간 6000→9000원
● 정부, 네이버·카카오·이통사 간편인증 '몰아주기' 논란
● '오프라인 결제' 강화 나선 네이버, 네이버페이 앱 선보여
● 엔씨·넥슨·넷마블, 2분기 실적은 '주춤'…신작으로 반격
● 카뱅, 오는 20일 MSCI 지수 편입…"수급 영향 규모 2천억원"
● "카카오뱅크 믿었는데"…마통 금리, 5대 시중은행보다 높았다
● 카뱅 이어 등판하는 크래프톤…고평가·낮은 청약률 악재 넘어설까
● '흑자 전환' 케이뱅크, CI 바꾸고 새출발…"금융 본질에 집중"
● 카뱅 '흥행' 재현?…케이뱅크, 장외시장서 "기업가치 4.5조"
● 한화솔루션, 1조원 투자해 프랑스 재생에너지 기업 인수
● 포스코건설·GS건설, 부산서 1조2천억원 규모 재개발 수주
● 금호석유화학,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공채 신입사원 교육 진행
● KCGI, 쌍용차 인수전 참여…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 합류
● LIG넥스원, 韓 영공방위 책임진 '호크 유도탄' 창정비 사업 38년 만에 종료
● 롯데렌탈, 포티투닷에 250억원 투자.. 미래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 협력
● 삼양식품, 제품 가격 인상 임박…얼마나 올릴까 '주목'
● 한컴, NHN 업무 협업툴 '두레이' 독점 판매한다
● 에이루트, 수소발전 사업 본격화..."신재생 사업 중심 신성장 동력 확보할 것"
●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美日 공략 나선다
● 초록뱀미디어, 김수현·차승원 주연 '어느 날' 日 독점 라이선스 판매
● 아이마켓코리아 빠진 인터파크…매각 흥행 가능성은?
● 한컴, 협업툴 '두레이' 영업권 독점 확보···NHN 협력 강화
● 한국캐피탈, 500억 영구채 발행…자본 확충으로 자본적정성 강화
● 알에스오토메이션, 상반기 매출액 600억...사상 최대치 기록
● 알테오젠,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제조방법 특허 PCT 출원
●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 골관절염 치료제 日 특허 등록
● 대신증권, 라임펀드 투자자 최대 80% 배상안 수용
● 르노삼성, 링크&코와 친환경 신차 개발..XM3 후속모델 나오나

   

 

경제/증시/부동산

 

● ETF 종목 500개 돌파…일평균 거래대금 세계 3위

● '테마형ETF'에 뭉칫돈···K팝·게임·전기차 투자에 60조 넘겨 몰려

● 금본위제 폐지 50년…"금, 인플레 헤지 기대 못 미쳤다"

● 금감원, 공모펀드 '위험등급 관리 실태' 조사 착수

● 내년 4인 가구 월소득 614만원 이하 청년, 구직수당 최대 3백만원

● 실업급여, 6개월째 매달 1조원 넘게 나갔다

● 고승범 "시장친화적 정책 추진…금융사 CEO·노조와 소통하겠다"

● 조류독감·돼지열병·폭염…역대 최고 추석물가 예고

● 2분기 12개 시도 소매판매 감소…서울·부산·제주는↑

● 알루미늄 '10년 만에 최고치'…수요증가·공급제한에 상승여력 여전

● 3기 신도시 '하남 교산', 사전 청약지 '위례' 최고 인기지역

● GTX 호재 탄 평촌 집값 거침없다…경기 외곽도 들썩

● 7월 인천 아파트·오피스텔 경매 낙찰가율 역대 최고

 


  

정치/사회/국내 기타

 

● 문 대통령 41.5%·민주당 32.1% '동반하락'…국민의힘 37.8%

● 이재명 28.4% vs 윤석열 28.3%…尹, '실언 논란'에 역전 허용

● 윤석열·최재형 '세 불리기'…'계파 갈등' 촉발하나

● 文 "방역·경제·민생 지키는 새로운 방역전략 추진"

● 거리두기 4단계에도 초1~2, 고3 매일 학교 간다

● 출연硏 키운 '소부장 베테랑 연구원' 기업에 보내준다

● 3년간 단계적 정착…오세훈표 교육사업 '서울런' 기본계획 나왔다

● 행안부, 시스템점검·특근비산출 등 반복업무 SW로봇으로 자동화

● 국토부 산하기관 재산등록 확대···HUG·부동산원 유관부서도 대상

● 춘천서 야생멧돼지 ASF 검출…양돈농가 방역 사활

● "北 식량난에 군량미 판매…무상배급 기대한 주민 불만"

● 한미, 연합훈련 앞두고 '대북 인도적 지원' 협의 본격화…"北은 '제재 완화' 원해"

● 한미연합훈련 연기 '공감하지 못한다' 50.4% '공감'45.3%

 

 

   

국제/해외

 

● 기후재앙 마지막 경종되나…IPCC '음울한 보고서' 예고

● "미국인 43%, 팬데믹 이후에도 붐비는 곳서 마스크 착용 의사"

● 파우치 "부스터샷 강력 찬성…백신 의무화도 기대"

● 中 코로나 확산에 이동통제…타지 사람에 핵산검사증 요구

● 올림픽 완주 日스가 내각 지지율 28%로↓…출범 첫 30% 붕괴

● 싱가포르, '뜨거운 감자' 해외인력 정책 조정 시사

● 베트남 코로나 19 급격한 확산에 글로벌 공급망 타격

● "미 닭고기 가공 샌더슨팜스 매각 협상…5조원대"

● 中 기술 굴기에 日 특허료 29년 만에 오르는 이유

● JP모건 CEO "중국 100% 자회사 설립, 미국 기업에 이익"

● 중국 기술기업들, 아프리카의 '디지털 금융 혁명' 막후 주도

● 스마트폰 매출 '반토막'… 中화웨이, 상반기 美제재 본격 영향권

● 투자은행 "美기업, 3분기에도 실적 양호"

● 英 '괴짜 억만장자' 브랜슨, 버진애틀란틱 IPO 나선다

● 르노, 中 지리와 하이브리드車 합작...韓 시장 공략

● '악재 겹친 알리바바' 이번엔 직장 내 성폭력 사건 파문

 

 

 

   

코스피 마감

 

8/9 KOSPI 3,260.42(-0.30%)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Fed 테이퍼링 가능성 재부각(-), 개인 대규모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지표 호조 및 코로나19 우려 지속 등에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3,258.10(-12.26P, -0.37%)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3,251.74(-18.62P, -0.5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음. 오전 중 상승 전환했고 정오 부근 3,275.15(+4.79P, +0.15%)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 오후 들어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이다 장 막판 낙폭을 다소 키운 끝에 3,260.42(-9.94P, -0.30%)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사흘째 하락. 외국인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도를 기록. 지난 주말 발표된 美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Fed의 테이퍼링 가능성 부각 및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일요일 기준 최다 소식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모습. 다만, 개인이 9,000억 넘는 순매수를 보였고,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1% 넘는 상승세 등으로 코스피지수의 낙폭은 제한.

 

지난 주말 발표된 美 7월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美 비농업부문 고용은 94만3,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10만명 가까이 상회. 7월 실업률은 전월대비 0.5%P 하락한 5.4%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보다 양호했음. 고용지표 호조 등에 하반기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졌고, 이에 美 Fed의 테이퍼링 가능성도 재차 부각. 지난 주말 美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1.292%로 전일 대비 7.8bp 상승.

 

지난주 금요일 신규 상장 첫날 상한가를 기록했던 카카오뱅크(+12.46%)는 금일도 장중 한때 27%를 상회하며 상한가에 근접하기도 했으나 장 막판 상승폭을 크게 반납하며 12%대에서 거래를 마감. 금일 카카오뱅크의 거래대금은 3.6조원을 상회하며 1위를 기록. 한편, 업계에 따르면, MSCI는 지난 6일(금) 밤 카카오뱅크의 신흥국 지수 조기 편입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492명으로 일요일 기준 최다를 기록. 특히, 비수도권 지역 발생 확진자가 연일 40% 안팎을 기록하는 등 전국 확산세가 지속되는 모습.

 

일본이 휴장한 가운데, 중국, 홍콩이 상승한 반면, 대만이 하락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082억, 7,473억 순매도, 개인은 9,50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340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172계약, 2,766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2원 상승한 1,144.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3bp 상승한 1.436%, 10년물은 전일 대비 1.4bp 상승한 1.914%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틱 오른 110.27 마감.금융투자가 3,881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은행은 각각 2,307계약, 2,958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2틱 내린 127.85 마감. 은행이 770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65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셀트리온(-2.03%), SK하이닉스(-1.69%), 삼성물산(-1.38%), SK텔레콤(-1.15%), 삼성바이오로직스(-1.09%), POSCO(-1.03%), 현대모비스(-0.72%)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뱅크(+12.46%), LG전자(+2.55%), 카카오(+1.72%), KB금융(+1.53%), 신한지주(+0.90%), 기아(+0.70%), NAVER(+0.67%) 등은 상승.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은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의약품(-1.96%), 기계(-1.80%), 건설(-1.67%), 운수창고(-1.27%), 철강/금속(-1.17%), 종이/목재(-1.15%), 유통(-0.86%), 음식료(-0.67%), 운수장비(-0.65%), 섬유/의복(-0.62%), 전기가스(-0.62%) 등이 하락. 반면, 은행(+9.86%), 금융(+1.20%), 의료정밀(+0.79%)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260.42P(-9.94P/-0.30%)

 

  

  

코스닥 마감

 

8/9 KOSDAQ 1,060.00(+0.02%) 개인 순매수(+),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지표 호조 및 코로나19 우려 지속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59.29(-0.51P, -0.05%)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1,054.58(-5.22P, -0.4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전중 상승 전환해 정오 부근 1,061.78(+1.98P, +0.19%)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 오후 들어 상승폭을 줄여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 결국 1,060.00(+0.20P, +0.02%)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4,500억원 가까운 순매수를 보이면서 코스닥지수는 나흘 연속 상승 마감, 종가 기준으로 사흘째 연고점을 경신. 기관이 이틀 연속 순매도, 외국인이 나흘만에 순매도를 기록한 반면, 개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

 

에코프로(+29.95%), 상신이디피(+10.92%), 에코프로비엠(+7.07%), 원익피앤이(+6.72%)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큰 폭으로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이 4,487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44억, 3,320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코프로비엠(+7.07%), 원익IPS(+3.48%), SK머티리얼즈(+3.29%), 천보(+3.25%), 엘앤에프(+2.75%), 제넥신(+1.70%), 에이치엘비(+0.83%), 카카오게임즈(+0.61%) 등이 상승. 반면, 셀트리온제약(-3.48%), 알테오젠(-3.19%), 셀트리온헬스케어(-2.74%), 펄어비스(-1.82%), 티씨케이(-1.10%), 씨젠(-0.70%) 등은 하락. 스튜디오드래곤은 보합.

 

업종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정보기기(-2.06%), 유통(-2.03%), 제약(-1.87%), 금속(-1.44%), 건설(-1.38%), 컴퓨터서비스(-1.16%), 의료/정밀기기(-1.07%), 방송서비스(-0.92%), 통신방송서비스(-0.90%), 음식료/담배(-0.85%) 등이 하락. 반면, IT부품(+2.74%), 일반전기전자(+2.43%), 종이/목재(+2.36%), 화학(+2.03%), IT H/W(+1.44%), 반도체(+1.36%), 기타제조(+1.07%), 디지털컨텐츠(+0.90%), 기계/장비(+0.62%)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1,060.00P(+0.20P/+0.02%)

 

  

 

중국, 일본, 대만 장마감 시황



▶중국 장마감 요약

 

8월9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물가지표 발표 속 추가 부양책 기대감 및 금융주 강세 등에 상승.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441.75(-0.48%)로 하락 출발. 장 초반 3,438.70(-0.56%)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하락폭을 축소하며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 이후 점차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오후 장중 3,502.84(+1.29%)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다소 축소한 끝에 3,494.64(+1.05%)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의 7월 물가지표가 발표된 가운데, 금융주가 강세를 보인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에 상승요인으로 작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기술기업 규제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이 안전한 종목을 찾기 위해 금융주에 주목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 중국은행(+1.00%), 중신증권(+1.91%), 중국인수보험(+2.48%) 등 금융주와 보리부동산(+7.53%) 등 부동산 업종이 강세를 보임.

 

아울러 금일 발표된 7월 물가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중국 정부의 추가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중국증시 상승에 영향을 미침. 국가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0%, 9.0% 상승함. 전월 대비로는 각각 0.3%, 0.5% 상승했으며, CPI와 PPI 모두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함.

 

금일 인민은행은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100억 위안 규모의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매입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식품/약품 소매, 음식료, 보험, 개인/가정용품, 경기관련 소비재, 화학, 은행/투자서비스 업종 등이 상승. 종목별로는 공상은행(+0.44%), 중국은행(+1.00%), 중신증권(1.91%), 중국인수보험(+2.48%), 보리부동산(+7.53%), 중국국제항공(+2.69%), 청도하이얼(+1.94%), 낙양몰리브덴(+3.75%) 등이 상승.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494.64P(+36.41P/+1.05%), 상해A지수 3,662.65P(+38.17P/+1.05%), 상해B지수 263.26P(+2.35P/+0.90%)

      

  

▶일본 장마감 요약

 

8월9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산의 날 대체 휴무로 휴장.


 

  

▶대만 장마감 요약

 

8월9일 대만 가권지수는 美 나스닥지수 하락 영향 등에 소폭 하락.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17,505.01(-0.12%)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17,350.15(-1.00%)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장중 낙폭을 축소하다 17,510.09(-0.09%)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확대한 뒤 17,450선을 중심으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17,485.15(-0.23%)에서 거래를 마감.

 

대만 가권지수는 美 나스닥지수 하락 영향 등에 하락하는 모습. 지난 주말 기술주 중심의 美 나스닥 지수가 코로나19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하는 모습. 이에 금일 미디어텍(-1.60%), UMC(-0.32%), 혼하이 정밀(-0.44%) 등 기술주가 하락하며 대만 가권지수의 하락세를 이끌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기술장비, 음식료, 자동차, 유틸리티, 경기관련 소비재, 식품/약품 소매, 화학, 소프트웨어/IT서비스, 제약, 통신서비스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미디어텍(-1.60%), UMC(-0.32%), 혼하이 정밀(-0.44%), 라간 정밀(-0.70%) 등이 하락. 다만, TSMC(+0.68%)은 상승.

 

마감지수 : 가권지수 17,485.15P(-41.13P/-0.23%)

  

  

  

★금일 상한가 및 급등주★

 

● 에코프로(086520) :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 속 기업가치 대비 저평가 분석에 상한가

● 세진티에스(067770) : 메타버스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 나노씨엠에스(247660) : 세계 최초 개발 실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사멸 평면램프 관련 논문 글로벌 학술지 게재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네오위즈(095660) : 신작 "블레스 언리쉬드 PC", 첫 주말 동시 접속자 7만명 돌파 소식에 급등

● 에코프로에이치엔(383310) :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신성델타테크(065350)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LG에너지솔루션향 수주 급증 전망 등에 급등

● 큐라클(365270) : 경구용 당뇨황반부종 치료 신약후보물질 내달 기술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디스플레이텍(066670) : 현대차,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경영권 인수 추진 소식 속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지분 보유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압타바이오(293780) :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속 급등

● 코스모신소재(005070) :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속 LG에너지솔루션향 하이엔드 NCM 양극재 공급 추진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아이텍(119830)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가석방 기대감 부각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코아스템(166480) : 루게릭병 치료제 글로벌 임상3상 환자 60% 이상 등록 완료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대원제약(003220) : 고지혈증 치료제 "페노피브레이트" 코로나19 치료 효과 소식 속 페노피브레이트 성분 제품 판매 사실 부각에 급등

● 코스모화학(005420) : 애플카 실무진, 최근 극비리 방한 소식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유니테크노(241690) : 지분 인수전 확대 가능성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카카오뱅크(323410) : MSCI 조기 편입 기대감 등에 신규 상장 이틀째 급등

● 데브시스터즈(194480) : 쿠키런 킹덤,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예정 소식에 급등

● 켐트로스(220260) :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글로벌 탄소국경세 부과 정책 기대감 속 이산화탄소 활용 에틸렌 카보네이트 전환 기술 개발 진행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카페24(042000) : 네이버의 동사 지분 인수설에 급등

● 상신이디피(091580) : 애플카 실무진, 최근 극비리 방한 소식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HB테크놀러지(078150) : OLED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비케이탑스(030790) : 메타버스 시장 진출 선언 소식에 급등

● 에프엔에스테크(083500) : OLED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아이엠(101390) : 삼성전자 차세대 폴더블폰 공개 기대감 등에 일부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속 급등

● 영우디에스피(143540) : 내년 글로벌 OLED TV 출하량 700만대 근접 소식 등에 OLED 테마 상승 속 급등

● 디이엔티(079810) : 일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목록보기

이전글 ★장마감 특징종목 및 주요공시 제임스수석 2021/08/09
다음글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제임스수석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