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조회수 : 485
- 작성일 : 2021/07/09 19:19:18
- 필명 : 제임스수석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국내증시, 7/9 코스피·코스닥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지속 속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 코스피 -34.73(-1.07%) 3,217.95, 코스닥 -5.55(-0.54%) 1,028.93
● 원/달러 환율, 코로나19 4차유행 우려 등에 상승… +4.1원(+0.36%) 1,149.1원
● 아시아 증시, 중국(-0.04%), 일본(-0.63%), 홍콩(+0.70%), 대만(-1.15%)
● 신규확진 1천316명, 이틀연속 최다기록 경신…비수도권도 확산세
●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12일부터 2주간
● 1차접종 3만7215명 늘어 총 1551만417명…인구대비 30.2%
● 文대통령, 12일 '수도권특별방역회의' 긴급 소집…오세훈·이재명도 참석
● 중국 공관장 코로나 후 첫 대면회의…한중 문화·경제교류 논의
● 화이자, 델타 막는 '부스터샷' 개발 중이지만...백신 무력화 변이 출현 코앞
● 델타 변이 공포에 경기회복 우려..전세계 자본시장 '출렁'
● "매우 위험한 가을 온다"…백신접종 67% 美 다시 마스크 쓰나
● 도쿄올림픽 경기 대부분 무관중…스가 연임 구상에 타격
● 바이든, "8월말 아프간 철군 완료"...탈레반 재집권 우려 커져
● 유럽의회,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결의안 통과
● 中, EU의 베이징동계올림픽 보이콧 결의에 발끈…"무책임한 개최 방해 행위"
● 中, 사이버 감독당국에 외국 IPO 중단 권한 부여
● 中 생산자물가지수 8.8%↑…통화정책 기조 변화 감지
● 마켓컬리, 미국 아닌 한국 증시 상장한다…이르면 내년초
● '깜짝실적'에도 꿈쩍않는 삼성전자···주가 반등은 언제?
● SD바이오센서 청약, 32조원 몰렸다…SK바이오팜 뛰어넘어
기업/산업
●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증시는 다시 언택트·바이오로
● 정부, 'K-배터리 발전전략' 발표…"주력산업으로 성장 위해 전폭 지원"
● 전지협회, 정부 배터리 전략 환영..11월 '배터리데이' 개최
● "전기차에 40조 투자" 스텔란티스가 손잡을 배터리업체는?
● "매출 좀 뛰나 했더니" … '거리두기 4단계' 날벼락 맞은 유통가
● 항공사 재택근무 강화…인천공항은 이미 '심각' 단계 방역
● 호텔 예약 줄취소 '비상'…여행업계도 '망연자실'
● 환경부-중기부, 2021년도 '그린뉴딜 유망기업' 31개사 선정
● 코로나19 재확산에 가요계 비상…거리두기 4단계로 대중음악 공연 줄취소
● 앨범시장 초호황 지속…상반기 '톱 400' 앨범, 2천600만장 팔려
● 수도권 4단계에 은행 문 안닫아요… "재택근무 늘리고 영업점 인원 줄인다"
● 상조업계 가입자 684만명·선수금 6.7조 육박…코로나에도 외형성장
● 델타변이 확산 공포에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 '급락'
● 외신 "BTC, 1.4만 달러가 바닥일 가능성 커"
● 한은 금통위, "암호자산, 알트코인도 살펴야...부채함정 주시"
● 삼성전자, D램 점유율 5분기 만에 반등…1분기 41.2%
● 삼성전자, 스마트폰 부품 20% 국내 '유턴생산' 확정
● "정보유출 선 넘었다"...삼성, 팁스터에 '저작권 침해' 경고
● 유럽 출사표 제네시스 'G70 슈팅 브레이크' 英서 세계 첫 공개
● 현대차,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개발 나선다..."친환경 선박 시장 조성"
● 현대차·기아, '탄소제로' 그린 수소 양산 박차…캐나다社와 MOU
● 포스코, 분기 영업이익 2조원 시대 열었다…2분기 2조2천14억원
● 삼성SDI "스텔란티스와 배터리 합작사 설립 미정"
● 라인, 블록체인 플랫폼 오픈소스 공개…"CBDC에 최적화"
● 현대중공업 노조 또 전면파업…생산 차질 현실로
● 엔씨소프트 '리니지' 형제, 6월에도 모바일게임 랭킹 1,2위... 넷마블 '제2의 나라' 3위
● 현대글로비스, 年 2조원 협력사 거래대금 현금지급…상생경영 강화
● 현대엘리베이터, 우아한형제들과 엘리베이터·로봇 연동 상품개발 합의
● 대양금속, 액화수소 모빌리티 플랫폼사 '하이리움산업'과 맞손 "2940조 수소시장 정조준"
● 쿠팡, 일본에 이어 대만 이커머스 진출
● 티웨이항공, 7월 인천·김포·대구발 무착륙 관광비행 6회 실시
● 경남제약, 스타마케팅으로 매출 성장···BTS 이어 트와이스 덕볼까
● 투비소프트, 중국 현지 기업과 업무협력통해 사업 저변 확대 추진
● 이즈미디어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콘텐츠 IP 확보"
● 이오플로우, 100% 자회사 '주식회사 파미오' 설립
● 메디포스트 "차세대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안전성·효능 확인"
● 휴온스글로벌, 리즈톡스주 200단위 품목허가 완료
● 이그잭스, 얍글로벌과 최대주주 변경 수반 유증 결정
● 압타머·유바이오로직스, '코로나19 변이주 비임상 지원사업' 선정
● 수젠텍, '4차 대유행'에 대규모 자금 조달…"연구개발·설비투자금 확보"
● 바이오로그디바이스 "COVIXYL 美 전문연구소 실험 확인..코로나 바이러스 99.99% 사멸"
● 컬리, 2254억원 투자 유치.."한국서 상장할 것"
● 무신사, 스타일쉐어·29CM 경영권 인수 확정
● 내셔널지오그래픽, 홍콩에서 대박났다···목표보다 3배 성과 달성
경제/증시/부동산
● 델타변이 공포에 원·달러 환율 상승 본격화…증시 영향은
●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커지는 경제 회복 우려…"증시 조정 불가피"
● 상반기 의무보유 설정 상장주식 전년 대비 10.8% 증가
● 올 상반기 장외시장 흥행…최다거래 종목은?
● 4단계 거리두기에 올해 4.2% 성장 '빨간불'…사면초가 '홍남기 경제팀'
● 4단계 적용에 소상공인 망연자실..소공연 "손실보상 지원금 대폭 늘려야"
● 세계식량가격지수 약 1년만에 하락…"미국 기상여건 개선 영향"
● 구직급여 5년간 3번 이상 타면 급여액 최대 50% 삭감한다
● '거래는 잘 안되는데…' 가라앉지 않는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 文정부 3년간 실질 주택공급량, 4분의1 줄어
● 소형 아파트·빌라도 '허가' 받아야···토지거래 더 옥죈다
●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 61%…부산에 '리모델링 바람'
정치/사회/국내 기타
● 문재인 대통령, 도쿄 올림픽 참석 막판 줄다리기..."성과 있으면 검토"
● 국힘 지지율, 갤럽서도 민주에 역전…4년9개월만
● 윤석열 만난 이준석 "尹, 8월 경선 버스 당연히 탑승할 것"
● 野, 좌진석-우성동 '윤석열계' 부상…TK '최재형계' 가능성…元 지지세 '약진'
● 서울 코로나19 신규 확진 503명···최근 일주일 평균 400명 넘어 '거리두기 4단계'
● 사상 초유 '4단계' 격상, 달라지는 것들…사실상 '외출 금지'
● 12일부터 55~59세 모더나 백신 사전예약 시작
● 이준석, 여가부 이어 통일부 폐지론…"통일하지 말자는 건 아냐"
● 與 경선에 코로나 변수 돌출…꺼진 '연기론' 다시 고개
● IAEA "일본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기술적 지원 범위 합의"
● 내달 14~16일 '택배 쉬는 날' 지정…대체공휴일 쉰다
● 교육부 "14일부터 수도권 전면 원격수업"
● 정부, 오는 12일부터 수도권 '어린이집 전면 휴원' 조치
● "한국판 모더나 키운다"…'K-바이오 랩허브'에 인천 송도 선정
● 구글, 삼성 '갤럭시 스토어' 죽이려 혈안…美 구글 반독점 소송서 드러나
● "北, AZ 준다는 코백스에 부작용 있다며 다른 백신 요청"
국제/해외
● 美 델타 변이 확산·신규 실업수당 증가에 '성장 둔화' 우려 확산
● 접종률 낮은 美 남부서 코로나 변이 확산 가속화…"백신 접종, 美 28만명 생명 구해"
● "코로나19 영향에 일자리 2200만개 사라져" OECD 보고서
● IMF, 코로나19로부터 회복 지원위해 746조원 규모 새 SDR 할당
● 미 상원의원, SEC에 "암호화폐 규제 공백 메워야" 촉구
● 중국, 지린성서 美 투자유치 행사…"불공평 우려 말라"
● "미국, 中 '대만 레드라인' 굳이 넘지는 않겠다는 신호 보내"
● 재선 앞둔 佛 마크롱의 연금 개혁 승부수, 과연 통할까
● 중국인민은행 "위안화 안정 유지해 수출기업 지원"
● 일본, 올림픽 때 긴급사태 '극약처방'…손실 10조원 넘을 듯
● 미얀마 소수민족 연합체 대표 돌연 사퇴…'갈등 확산' 우려
● 브라질 대통령 "남미공동시장 개방해야"…아르헨과 마찰 예상
● "가장 매력적 투자처는 미국…한국은 9위"
● "미, '위구르족 탄압' 중국 10여개 기업 추가 제재 예정"
● 美 주요 은행들,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전망
● 미 개미들 공매도세력과 또 전쟁?…카버 뱅코프 장중 267% 급등
● "보잉 737맥스 시험비행에 열려있다"…중국서 운항금지 풀리나
● 스텔란티스 '전기차 올인'…"LG엔솔·삼성SDI와 협력" 거론
● 아마존, 중국 대형 소매업체 온라인 매장 340개 폐쇄
● 美상원의원들 "디디추싱 뉴욕증시 상장, SEC가 조사해야"
● 日 핀테크 시장 눈독 들이는 구글…"3천억원 들여 스타트업 인수 추진"
★코스피 마감★
7/9 KOSPI 3,217.95(-1.07%)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우려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속 경제 둔화 우려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인플레이션 및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등에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3,245.52(-7.16P, -0.22%)로 하락 출발. 장중 고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낙폭을 빠르게 확대하며 오전 중 3,188.80(-63.88P, -1.96%)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3,200선을 중심으로 약세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장후반 낙폭을 더욱 축소해 결국 3,217.95(-34.73P, -1.07%)로 장을 마감. 종가기준 지난 6월9일 이후 한 달 여만에 최저치를 기록.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지속 속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증세를 이어간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거리두기를 오는 12일부터 4단계로 격상하겠다고 밝힌 점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아울러 중국 정부의 지급준비율 인하 언급 등도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면서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3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
특히, 코로나19 4차 대유행 현실화 등에 카지노, 면세점, 영화, 항공, 여행 등 경제 재개 수혜주가 연일 약세를 이어갔고, 美 금리 하락세 지속 속 은행/보험 테마도 하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316명(국내 발생 1,236명, 해외 유입 80명)으로 집계됐음. 전일에 이어 이틀 연속 역대 최고치 경신. 이에 정부는 수도권 거리두기를 오는 12일부터 4단계로 격상하겠다고 발표. 한편,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1차 접종자는 1,551만4,017명으로 인구 대비 접종률 30.2%를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홍콩이 상승한 반면, 일본, 중국, 대만은 하락하는 등 대체로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3,425억, 5,084억 순매도, 개인은 1조8,01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931계약, 4,654계약 순매도, 기관은 8,099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1원 상승한 1,149.1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7bp 상승한 1.37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1bp 상승한 2.03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틱 하락한 110.32로 마감. 외국인과 자산운용이 3,065계약, 2,454계약 순매도, 은행, 금융투자는 3,276계약, 2,755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1틱 하락한 126.51로 마감. 금융투자가 2,445계약 순매도, 은행은 1,581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KB금융(-3.63%), LG화학(-3.03%), LG생활건강(-2.44%), 신한지주(-1.93%), 삼성물산(-1.92%), 현대모비스(-1.78%), SK하이닉스(-1.65%), NAVER(-1.54%), 현대차(-1.53%), 카카오(-1.53%), 셀트리온(-1.50%), 기아(-1.04%), 삼성바이오로직스(-0.70%), LG전자(-0.63%), 삼성전자(-0.63%), POSCO(-0.44%) 등이 하락. 반면, SK텔레콤(+1.58%), SK이노베이션(+1.12%), 삼성SDI(+0.55%)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은행(-2.43%), 증권(-2.35%), 금융업(-1.99%), 보험(-1.98%)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운수창고(-1.82%), 유통업(-1.72%), 음식료업(-1.46%), 화학(-1.42%), 운수장비(-1.27%), 서비스업(-1.22%), 의료정밀(-1.20%), 철강금속(-1.13%)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통신업(+0.65%), 섬유의복(+0.12%)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217.95(-34.73P/-1.07%)
★코스닥 마감★
7/9 KOSDAQ 1,028.93(-0.54%)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세 지속(-), 개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경제 둔화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31.78(-2.70P, -0.26%)으로 하락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키워 오전 중 1,013.91(-20.57P, -1.99%)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1,020선을 중심으로 약세를 흐름을 이어갔고, 장 후반 낙폭을 더욱 축소해 결국 1,028.93(-5.55P, -0.54%)으로 장을 마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가운데,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상향 소식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개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이 순매수하며 낙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459억, 21억 순매도, 외국인은 70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씨젠(-2.76%), 에이치엘비(-2.59%), 원익IPS(-1.88%), 스튜디오드래곤(-1.80%), 제넥신(-1.63%), 셀트리온제약(-1.47%), 티씨케이(-1.44%), 셀트리온헬스케어(-0.98%), 케이엠더블유(-0.98%), 휴젤(-0.94%) 등이 하락. 반면, 천보(+5.84%), 에코프로비엠(+5.25%), 카카오게임즈(+5.23%), 알테오젠(+2.53%), 엘앤에프(+2.48%), 펄어비스(+1.65%)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금융(-2.52%), 통신서비스(-1.62%), 음식료/담배(-1.56%), 운송장비/부품(-1.44%), 건설(-1.27%), 기계/장비(-1.16%), 오락/문화(-1.05%), 반도체(-1.01%), 유통(-0.98%), 금속(-0.93%), 운송(-0.92%), 정보기기(-0.89%), 제약(-0.82%), 기타 제조(-0.74%), 출판/매체복제(-0.68%), 통신방송서비스(-0.67%), IT H/W(-0.63%), 인터넷(-0.61%)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컴퓨터서비스(+2.65%), 일반전기전자(+1.81%), 섬유/의류(+0.67%), 디지털컨텐츠(+0.48%) 등 일부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1,028.93P(-5.55P/-0.54%)
★중국, 일본, 대만 장마감 시황★
7월9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中 당국 규제 우려 등에 하락.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512.23(-0.38%)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3,485.05(-1.15%)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 오후 들어 더욱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상승전환 후 3,529.31(+0.11%)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인 끝에 3,524.09(-0.04%)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당국의 규제 우려가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중국 최대 전자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를 운영하는 알리바바그룹의 계열사 앤트그룹이 중국 당국의 요구로 상장이 중단된 가운데, 전일 판이페이 인민은행 부행장은 베이징에서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최로 열린 정책 설명회에서 "독점 현상은 비단 앤트 그룹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기구도 이런 문제가 있다"면서 "우리는 앤트 그룹 대상 조치를 다른 지급 결제 서비스 회사들에도 적용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이르면 9일 밤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선별적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가 예고됐음에도 中 경기 회복세 불안감에 투자 심리가 위축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 美/中 간 갈등이 심화된 점도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 금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 주요 지수에서 퇴출당하는 중국기업이 더 늘어나게 됐다는 소식이 전해짐.
한편, 중국 국가통계국은 금일 중국의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동월대비 8.8% 상승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5월의 9.0% 상승보다는 둔화됐음.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보험, 전력, 은행 업종 등이 하락한 반면, 자동차, 전자/가전, 철강 업종 등이 상승. 종목별로는 중국건설은행(-1.37%), 중국인수보험(-1.20%), 화하행복부동산(-1.05%), 공상은행(-0.82%) 등이 하락한 반면, 내몽고포두철강연합(+10.06%), 하문텅스텐(+10.00%), 광주자동차(+6.02%), 보리부동산(+0.50%) 등이 상승.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524.09P(-1.42P/-0.04%), 상해A지수 3,693.64P(-1.50P/-0.04%), 상해B지수 260.24P(+0.69P/+0.27%)
7월9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지속 등에 하락.
이날 일본 니케이지수는 27,739.42엔(-1.35%)으로 약세 출발. 낙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오전 장중 27,419.40엔(-2.48%)에서 저점을 형성. 오후 들어 낙폭을 축소하다 장막판 28,000.02엔(-0.42%)에서 고점을 형성한 한 뒤 27,940.42엔(-0.63%)에서 거래를 마감.
일본 니케이지수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하는 모습. 언론에 따르면, 전일 일본 정부는 도쿄 지역의 감염 재확산에 대응해 오는 12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6주간 긴급사태를 발효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짐. 긴급사태는 오는 23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열리는 도쿄올림픽 전 기간을 포함하며, 긴급사태가 선포된 지역에서는 광역단체장이 외출 자제 요청을 하는 것 외에도 음식점 영업시간 단축, 휴업 요청•명령, 주류판매 제한 등 다양한 방역 대책이 시행되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금일 일본 민간연구소 노무라소켄에 따르면 이달 12일부터 다음달 22일까지 6주간 도쿄도에 발효되는 긴급사태로 인한 경제적 손실(개인소비 감소)은 9,820억엔에 달할 것으로 알려짐.
다만, 일본은행이 금일 상장지수펀드(ETF) 자산을 매입하기로 결정한 점은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폭을 제한.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복합산업, 음식료, 식품/약품 소매, 자동차, 운수, 부동산 업종 등이 하락한 반면, 유틸리티, 제약, 소프트웨어/IT서비스, 보험, 기술장비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소프트뱅크그룹(-0.72%), 도요타자동차(-0.26%), 신에쓰화학공업(-1.80%) 등이 하락한 반면, 소니(+0.73%), 도쿄가스(+0.64%) 등은 상승.
마감지수 : 니케이225 27,940.42엔(-177.61엔/-0.63%)
▶대만 장마감 요약
7월9일 대만 가권지수는 美 증시 하락 영향 등에 약세.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장중 고점인 17,778.12(-0.49%)에서 소폭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오후 들어 약세 흐름을 지속하는 모습. 오후 장중 17,597.46(-1.50%)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장막판 낙폭을 소폭 만회하며 17,661.48(-1.15%)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가 하락 마감한 점이 대만 가권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美 증시는 글로벌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음. 특히, 나스닥 지수가 하락한 영향으로 금일 대만 가권지수에서 시가총액 1위인 TSMC를 비롯해 라간 정밀, 혼하이 정밀 등 주요 기술주들이 하락 마감했음.
아울러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하락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디스플레이, 전자, 철강/시멘트, 항공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라간 정밀(-5.08%), 한스타 디스플레이(-2.40%), 혼하이 정밀(-1.30%), TSMC(-0.68%) 등이 하락.
마감지수 : 가권지수 17,661.48P(-204.61P/-1.15%)
● 큐로컴(040350) : 자회사 스마젠, 코로나19 백신 복지부 지원 비임상 지원과제 선정 소식에 상한가
● 지엔코(065060) : 계열사 스마젠, 코로나19 백신 복지부 지원 비임상 지원과제 선정 소식에 상한가
● 휴마시스(205470)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코로나19 항원 자가검사키트, 독일서 사용 승인 획득 소식에 급등
● 인성정보(033230) : 코로나19 장기화 전망에 따른 비대면 의료 확대 기대감 등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서전기전(189860) : 日 원전 오염수 국제검증 한국 전문가 참여 소식 속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큐로홀딩스(051780) : 그룹 계열사 스마젠, 코로나19 백신 복지부 지원 비임상 지원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 디엔에이링크(12712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GH신소재(13050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레고켐바이오(14108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한일단조(024740) : 정치/인맥(최재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인트로메딕(150840) : 싸이월드 결제시스템 '싸이페이' 개발 MOU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 팜젠사이언스(00472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우리들휴브레인(11800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휴온스글로벌(084110) : 리스톡스주 200단위, 식약처 품목 허가 완료에 급등
● 녹십자엠에스(14228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아이스크림에듀(28901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역대 최고치 경신 및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 등에 일부 쿠팡 관련주 및 일부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장마감 특징종목 및 주요공시 | 제임스수석 | 2021/07/09 | |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제임스수석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