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 이슈요약

  • 조회수 : 354
  • 작성일 : 2021/02/22 22:00:50
  • 필명 : 이재상대표

★ VIP방과 무료방 추천주는 아래 관심 종목중,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돈의 흐름과 기법으로 선정된 종목을 추천주로 드립니다.

 

이재상대표의 빅데이터와 기법의 만남!!! 실전 종목추천방 입장>>> https://open.kakao.com/o/gprxUESc  입장코드:7777






"매일 상한가를 잡는 이제상한가가자 이재상"


[장마감 주요이슈요약/주요뉴스 클리핑]

● 국내증시, 2/22 코스피 ·코스닥 美 국채금리 상승, 中 유동성 회수 우려,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하락… 코스피 -27.87(-0.90%) 3,079.75, 코스닥 -10.82(-1.12%) 954.29
● 원/달러 환율, 美 국채금리 급등 및 국내 증시 하락 등에 상승... +4.5원(+0.41%) 1,110.4원
● 아시아 증시, 중국(-1.45%), 일본(+0.46%), 홍콩(-1.06%), 대만(+0.42%)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32명...일주일만에 300명대로 떨어져
● 300명대 내려왔지만 불안…거리두기 상향 가능성도
● 2월 1∼20일 수출 16.7% 증가…車 46%↑, 반도체 28% ↑
● 화이자 백신 허가 관련 오늘 첫번째 전문가 자문회의···내일 결과 공개
● 아스트라 26일·화이자 27일부터 접종…11월 집단면역 달성될까
● 韓, 러시아 '스푸트니크V' 생산기지 되나…기대감 고조
● 한일, 이번엔 독도 문제로 또 충돌...日총괄공사 초치
● 복귀하자마자…美, 코로나 기원설 놓고 中 이어 WHO 압박
● 美英 코로나 백신 접종 속도 높이기에 박차
● 인플레 우려, 반론도 확산…"美, 80년대 경제 아니다"
● 미 공화당원 절반 "트럼프 신당 창당하면 가입할 것"
● "인도·중국군, 분쟁지 판공호서 철수 완료"…공동 성명
● 英 파운드화 환율 3년來 최고…빠른 백신보급·EU협상 종료 영향
● 中최대 정치이벤트 '양회'가 시진핑에게 중요한 이유
● OPEC+ 회합 앞두고 사우디·러시아 또 이견…"현행 유지" vs "공급 확대"
● '타임커머스' 앞세운 티몬… 연내 IPO '속도'


[코스피]

2/22 KOSPI 3,079.75(-0.90%) 美 국채수익률 상승(-), 中 유동성 회수 우려(-),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국채 금리 상승 우려 지속 및 경기부양 기대감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3,114.03(+6.41P, +0.21%)으로 소폭 상승 출발. 장 초반 3,112선까지 상승폭을 줄였으나 상승폭을 키워 3,142.48(+34.86P, +1.1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다시 상승폭을 줄였고,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이어갔음. 오후 들어서도 혼조세를 지속하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하락폭을 키웠고, 결국 장 막판 3,079.16(-28.46P, -0.9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3,079.75(-27.87P, -0.90%)에서 거래를 마감.

2월1~20일 수출 호조 등에 장 초반 코스피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美 10년물 국채 수익률 등 글로벌 채권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감이 시장 전반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를 보이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7거래일 연속 순매도. 연기금 등은 38거래일 연속 순매도중.

아울러, 중국 유동성 회수 리스크도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 금일 중국 인민은행은 100억위안 규모 7일물 역RP를 매입, 만기도래물량 500억위안 고려시 400억 위안 규모 유동성 순회수. 이는 中 춘절 연휴 이후 3영업일 연속 유동성 순회수임.

한편, 2월1~20일 우리나라의 수출은 30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6.7% 증가했고, 일평균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29.2% 급증. 반도체(27.5%), 무선통신기기(33.6%), 승용차(45.9%) 등의 수출이 선전.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일본, 대만이 상승했고, 중국,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19억, 4,597억 순매도, 개인은 7,50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630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2,518계약, 397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5원 상승한 1,110.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4bp 상승한 1.020%, 10년물은 전일 대비 4.7bp 상승한 1.92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 대비 10틱 내린 111.47 마감. 외국인이 24,730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6,670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 대비 55틱 내린 128.00 마감. 외국인이 1,61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1,782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엔씨소프트(-6.62%), SK이노베이션(-4.05%), 삼성SDI(-4.03%), NAVER(-2.89%), 셀트리온(-2.83%), 카카오(-2.68%), LG화학(-2.66%), LG생활건강(-2.44%), SK(-2.28%), 기아차(-2.20%), SK텔레콤(-2.17%), 삼성바이오로직스(-1.64%) 등이 하락. 반면, SK하이닉스(+2.63%), POSCO(+1.71%), 현대모비스(+0.4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서비스(-2.45%), 기계(-2.30%), 비금속광물(-2.18%), 의료정밀(-2.10%), 통신(-2.04%), 화학(-1.88%), 의약품(-1.56%), 건설(-1.25%), 섬유/의복(-1.09%), 음식료(-0.94%) 등이 하락. 반면, 보험(+4.23%), 철강/금속(+2.19%), 운수창고(+1.56%), 종이/목재(+0.5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079.75P(-27.87P/-0.90%)



[코스닥]

2/22 KOSDAQ 954.29(-1.12%) 美 국채수익률 상승(-), 中 유동성 회수 우려(-),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국채 금리 상승 우려 지속 및 경기부양 기대감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65.55(+0.44P, +0.05%)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재차 상승했고, 오전중 969.96(+4.85P, +0.5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전중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이다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고, 장 막판 953.48(-11.63P, -1.21%)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결국 954.29(-10.82P, -1.12%)에서 거래를 마감.

2월1~20일 우리나라 수출 호조 소식에 코스닥지수는 장 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美 국채수익률 상승과 中 유동성 회수 우려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기관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94억, 902억 순매도, 개인은 1,92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씨젠(-9.20%), 컴투스(-4.58%), 엘앤에프(-4.48%), 티씨케이(-3.66%), 케이엠더블유(-3.33%), 카카오게임즈(-3.10%), SK머티리얼즈(-3.05%), 에코프로비엠(-2.92%), 셀트리온헬스케어(-2.72%), 셀트리온제약(-2.34%) 등이 하락. 반면, 에이치엘비(+1.60%), 리노공업(+1.18%), 솔브레인(+0.53%), 휴젤(+0.05%)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인터넷(-3.92%), 오락문화(-2.16%), 기계/장비(-1.92%), IT부품(-1.91%), 반도체(-1.80%), 유통(-1.77%), 기타서비스(-1.76%), IT H/W(-1.60%), 일반전기전자(-1.49%), 비금속(-1.46%), 제약(-1.41%), 제조(-0.97%), 섬유/의류(-0.75%) 등이 하락. 반면, 통신서비스(+1.43%), 금융(+1.11%), 건설(+1.01%), 금속(+0.99%), 정보기기(+0.7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54.29P(-10.82P/-1.12%)



[기업/산업]

● 조선 빅3 수주액 두달만에 5조원 넘어… 저가 수주 우려는 여전
● 中 '배터리 굴기'…韓 3사 안방까지 '야금야금'
● '코로나發 매출 반 토막' 정부, 면세점 특허수수료 50% 감경
● 4월부터 실손보험료 15~19% 인상...신상품으로 갈아타야 하나?
● 먹구름 걷힌 보툴리눔 톡신 3社…수출 청신호 켜졌다
● 구리, 10년來 최고가 경신… '구리의 시대' 온다
● '코로나19 장기화에'…정부, 항공사 '운수권 회수 유예' 연장
● 내년부터 비트코인 수익금 20% 과세..."주식과 차별" 비판도 제기
● 전문가 41% "국제 관광 2024년 이후에나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 코로나19에도 제약·바이오기업 1조원대 매출 기업 11개
● 쿠팡, 美 투자자에 "한국만의 특수한 위험 있다" 경고
● "1년새 적자 10배" "화물도 대안 안돼"…생존 기로 몰린 LCC
● 돈 안 되고 관치에도 질리고...외국계 은행의 이유 있는 '탈한국'
● 삼성 준법위원회 "이재용 부회장 취업 제한 적용 여부 결론 못 내려"
● "삼성 美오스틴 공장 재가동, 최소 1주일은 더 걸린다"
● 車반도체 공급 부족이라는데…삼성전자 주가는 왜 안오를까
● 현대차그룹, '전동화 시대' 부품 협력사 체질개선 이끈다
● 스마트폰 접는 LG전자, 롤러블폰 출시 백지화
● ITC 판결에도 협상 지지부진… SK·LG 배터리 합의 장기전 가능성
● 셀트리온, 창립 18년 만에 제약·바이오 매출 1위 달성
● 중동 방위산업 시장 공략 나선 기아…소형전술 차량 콘셉트카 2종 공개
● 한국조선해양, 컨테이너선 포함 5400억원 규모 선박 수주
● 삼성도 AR 글라스 시장 참전?…AR·VR 단말 '각광'
● 현대글로비스 '전기차 배송' 본격 시동
● 아시아나항공, A350 여객기 2대 화물기 추가 개조
● 카카오 계열사 야나두, IPO 러시 합류
● 메디톡스, '보톡스 합의'로 대웅 美 파트너사 2대 주주된다
● 메디톡스·대웅, 美 분쟁 합의했지만…국내선 또다시 출혈 예고
● 다날핀테크 "비트코인 결제 시대 연 페이코인, 100만 회원 돌파"
● 넷마블, 美 인디게임 개발사 '쿵푸 팩토리' 지분 인수
● SKT-한국전력, 연간 1만6000가구 분량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 체결
● 신세계인터내셔날, 럭셔리 스킨케어 '스위스 퍼펙션' 사업 본격화…B2C 시장 공략
● LF, 美 어반 아웃도어 신발 브랜드 '킨' 국내 공식 유통
● KT&G, 릴 하이브리드 2.0 일본 전역서 판매…일본 시장 공략 박차
● 대우조선해양건설, 2000억 규모 필리핀 보홀 레저개발 사업 MOU
● 코로나 잡는 페인트 나왔다…노루페인트, 美 코닝사와 제휴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美블루오리진 차세대 로켓엔진 제조 사업 참여
● 한독, 담도암 환자 대상 'ABL001' 임상 2상 진행
● 위지윅스튜디오 "래몽래인 지배구조 강화 후 상장 재추진"
● 비디아이, 플랫바이오와 공동개발 파트너십…"항암제 임상 3상 탄력"
● 센트럴인사이트, 바이오 자회사 코스닥 상장 추진
● 위조방지 소재기업 나노씨엠에스, 내달 코스닥 입성
● 한진 2대주주 HYK "주주제안서 주총에 상정해라"
● 마크로젠, 美 라이펙스와 파킨슨병 신약 공동연구
● 쌍용차 첫 전기차 코란도 e-모션…1회 충전 400km 넘게 달린다


[경제/증시/부동산]

● 국고채 10년물 2% 육박…22개월 만에 최고
● "목표수익률 4천%" 투자자 현혹…불법 유사투자자문 49곳 적발
● 달라진 동학개미…대형주에서 동전주로 이동
● "일만해선 돈 못 모은다"…2030 '영끌·빚투' 몰입
● 수은, 2000억원 펀드 조성해 디지털·그린 뉴딜 기업 지원
● 거래내역·대출잔액 정보 제공...마이데이터 가이드라인 제시
● 제조업 업황 9개월째 개선…車·조선·화학 상승세
● 작년 서비스업생산 일제 감소…부동산에 서울만 나 홀로 증가
● 당국, 보험사 해외투자 감독 강화…부실·수익성 악화 1.2조
● 대출규제 완화? 변창흠 "가계부채 부담, 현기조 유지해야"
● 3월 아파트 입주물량 40% 감소…전세난 심화 우려
● 아파트값 띄우기?…서울 매매 신고 후 취소 2건 중 1건 최고가
● 1월에도 뜨거웠던 아파트 청약…경기·인천 경쟁률 역대 최고
● 내달 전국 1만4700가구 입주…전월比 38% 감소
● 임대사업자 종부세 혜택 줄어드나…변창흠 "관리강화 검토"


[정치/사회/국내 기타]

● 문 대통령 "4차 재난지원금 '3월 집행' 속도내라"
● 국민의힘 31.8%vs 민주당 31.6%…2주만에 지지율 재역전
● '위안부 갈등' 韓·日 외교수장 보름째 전화두절…美, 나선다?
●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강행…한일관계 악화일로
● '정인이 사건' 재발 막는다…법무부, 아동학대 전담기구 신설
● 韓-英, 바이러스·기후변화 등 기초연구 협력 약속
● 신한울 원전 3·4호기 사업허가 2023년 말까지 연장
● 정부, 의협 '총파업' 거론에 "백신접종 참여거부 논란없게 노력"
● 중견기업, 한국판 뉴딜 평균 152억 투자...'전년비 13.3%↑'
● 환경부 '풍력 환경평가전담팀' 발족…풍력발전 친환경적 확대
● 코발트 뺀 리튬이온배터리 500번 써도 끄떡없다
● 이례적 2월 동시다발 산불…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피해 키워
● 유은혜 "초1·2 매일 등교…다른 학년도 확대 준비"
● 2025년 0~1세 영아수당 50만원…학대 자진신고 어린이집 책임감면


[국제/해외]

● 美,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50만명 넘어
● 美 "중국, WHO 코로나19 기원조사에 자료 제공 불충분"
● 중국 왕이 "미국, 공산당 비방 멈추고 핵심이익 존중해야"
● 국제 백신보급 확대로 패권 키우는 중국…미는 뒷전으로?
● '화궈펑 띄우기' 나선 中 시진핑, 내달 양회서 3연임 선언할까
● 美 국무장관, 미얀마 군부 향해 "단호한 조치할 것"
● APEC 올해 의장국 뉴질랜드 "팬데믹 필수품 무관세 교역하자"
● '코로나에도 끄떡없다' 중국 자동차 판매량 세계 1위
● 아시아 큰손들, '투자 열풍' 미 스팩 시장 진출 확대
● 일본, '파편 우수수' 보잉 777기종 전면 운항 중단
● 샤오미, 전기차 사업 진출 검토..."공식 시작은 아직"
● 테슬라, 가격 낮춘 '모델 Y 스탠다드' 판매 중단... 이미 샀어도 취소 가능성
● "한달만에 1조 뻥튀기"...테슬라 비트코인 수익이 전기차 제쳤다

목록보기

이전글 ★시간외 단일가 특이종목 이재상대표 2021/02/22
다음글 ★큰손 매매 상위 이재상대표 2021/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