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조회수 : 510
- 작성일 : 2021/07/07 18:45:04
- 필명 : 제임스수석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국내증시, 7/7 코스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등에 하락, 코스닥 외국인 순매수 속 코로나19 관련주 강세 등에 상승, 연중 최고치 경신… 코스피 -19.87(-0.60%) 3,285.34, 코스닥 +2.40(+0.23%) 1,047.36
● 원/달러 환율,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등에 상승... +8.4원(+0.74%) 1,138.1원
● 아시아 증시, 중국(+0.66%), 일본(-0.96%), 홍콩(-0.40%), 대만(-0.35%)
● 신규확진 1천212명, 코로나19 사태후 2번째 규모…4차 대유행
● 코로나 확진자 폭증에 기업들 모임 자제하고 재택근무 재확대
● 5월 경상수지 흑자 108억달러…1년 전의 5배로 급증
● S&P, 올해 韓 경제성장률 전망치 3.6→4.0%
● HSBC "亞 통화, 테이퍼 텐트럼 때와 다른 네 가지"
● TD증권 "달러, FOMC 의사록 공개 후에도 상승세 제한적"
● 웰스파고 "부양책·경제활동 재개 효과 사라지고 있다"
● OPEC+ 갈등에 유가 단기 상방 우려…"80$ 중반 이상시 증시 부정적"
● 말많던 美'제다이 프로젝트' 결국 취소..."MS 울고 아마존 웃고"
● 美 가뭄에 농산물 선물 가격 변동성 확대
● 美 자동차협회 "휘발유가격 2014년 이후 최고치...올해 40% 급등"
● 골드만 "유가, 여름에 90弗도 쉽게 가능"
● 佛 재무 "G20 재무장관, 글로벌 최저 법인세율에 정치적 지지할 것"
● 호주도 델타 변이 우려…시드니 봉쇄 1주 연장
● 냇웨스트, 美 연준 금리 인상 시기 전망 앞당겨
● WSJ "디디추싱 사태에 美 주주들 '시진핑 리스크' 교훈"
기업/산업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12.5조 '서프라이즈', 3분기엔 15조 간다
● 삼성전자 2Q "예상 뛰어넘은 메모리 출하량, 어닝 서프 견인"
● LG전자, 2분기 연속 축포…올해 '매출 70조·영업익 4조' 겨냥
● 서울반도체 2·4분기 매출 3350억원, 역대 분기 최고 매출 기록
● 손정의 비전펀드, 야놀자에 1조185억 투자 확정
● 제주항공, 코로나 위기에 무상감자 단행…"재무구조 개선"
● 카카오서 독립한 '국내 1위' 멜론…카카오엔터와 합병 기대감
● 선데이토즈 자회사 플레이링스, 신작 '버블텀블' 해외 서비스 시작
● 디지탈옵틱·노블바이오, 신속 진단키트 개발 돌입…"바이오프론트와 맞손"
● 이마트 성수동 본사 건물 매각 검토…"자문사 선정은 사실 무근"
●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 출시...내연기관의 품격에 신기술 접목
● 현대차 아이오닉 5, 英 오토 익스프레스 선정 '올해의 차'
● '쏘렌토' 흥행질주 잇는 '스포티지'..사전계약 첫날 1.6만대 돌파
● 한미약품 파트너사 아테넥스, 미 FDA와 '허가불발' 오락솔 보완사항 협의
● 휴온스, 러 1회 백신 '스푸트니크 라이트' 국내 판권 확보
● 지나인제약, 中 시노팜 코로나 백신 식약처 긴급사용승인 신청 추진
● 센코, LG U+와'스마트 시티·산업단지'환경·안전 구축 사업 협력
● 20년 맞은 리츠···자산규모 63조, 배당수익률 8% 기록
● 멜론, 제네시스 전기차 'Electrified G80'에 탑재
● 모바일 게임 신작들의 반란... '리니지 천하' 무너질까
● "소비 회복에 찬물 끼얹는 느낌"…유통가, 4차 대유행 '긴장'
● 실적행진 방송株...증권가 "여전히 싸다
● 코스닥 너무 올랐나...한달새 자사주 '매입 5곳 vs 매도 25곳'
● 현대차그룹 5개사, 사업장 전력 100% 재생에너지로 대체 추진
● 삼성중공업, 대선조선과 친환경·스마트십 기술 파트너십 구축
● 대웅제약, 켈스 코로나19 신속항원 진단키트 판매
● LG화학, 중소기업 ESG위한 1000억원규모 펀드 조성
● '2025년엔 초고령사회'…고령층 재택의료센터·비대면진료 추진
● 한전, 세계 최초 해상풍력 설치 10일만에 끝내는 기술 개발
● 코나투스, 70억 규모 시리즈 A 브릿지 투자유치 마무리
● 저출산에 아이스크림 시장 위축?…"구독경제로 반전 모색"
● "현대차, 13대 글로벌 車기업 중 매출 4위인데 R&D 투자는 10위"
●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코로나 99.99% 살균 비강스프레이 전격 투자
● 셀리버리, 코로나19 치료제 iCP-NI 면역제어능력 입증
● 브이티지엠피, 수소연료전지발전 MOU 체결
● SD바이오센서, 공모가 5만2000원 확정…경쟁률 '1143대 1'
● 아주스틸 증권신고서 제출…8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추진
● SKT, 하나카드 '마이데이터' 구축…"다양한 산업에 확대 적용"
● 엔하이픈, 일본 데뷔 싱글로 오리콘 일간 차트 정상
● 무림P&P, 한국콜마와 맞손…"친환경 화장품시장 선도"
● 남양유업, 영업정지 위기 면했지만…산 넘어 산
경제/증시/부동산
● S&P "한은 내년에도 몇 차례 금리 인상…1.25% 이상 가진 않을 것"
●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2위…K-뉴딜·반도체·IT 투자 확대
● "7월 만기일, 시장 변동성 제한적인 이유"
● 與 "K반도체 전략만으론 부족…'국가전략산업특별법' 당론 추진"
● 인플레 대비해 金 사들이는 중앙은행들…한은은 8년 째 '유지'만
● 삼성 스마트폰 2분기는 '주춤'…"갤럭시S21 신작효과 감소"
● 전경련 "글로벌 기업 영업이익 줄었지만 한국기업은 늘어"
● KDI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경기 회복 제약할수도"
● K-OTC 시총 22조 돌파…상반기 일평균 거래대금 최대
● 가상화폐 투자자 4명 중 1명은 손해봤다
● 'K-뉴딜' 파생상품 쏟아진다…19일 지수선물 상장
● 집값 하반기에도 오른다…식지않는 '서울 매수심리'
● 성내1·천호3구역→존치관리구역…천호8존치정비구역은 정비사업 추진
● "서울 떠나 경기로" 고양·의정부 아파트값 1년 간 40% 급등
● "서울 도심엔 '과천같은 대체부지' 불가능"…정부는 신중론 선회
정치/사회/국내 기타
● 김 총리 "2~3일 내 안잡히면 거리두기 강력 단계 적용 검토"
● 현대百 무역센터점 확진자 50명 육박…"탈의실 등 감염 추정"
● '첫 백신 스와프' 이스라엘서 화이자 백신 70만회분 도착
● 코로나19 대유행에 서울 학원·교습소 강사, 선제 PCR 검사
● 정부 "4차 유행 초입···현 수준이 8월 초까지 이어질 것"
● 서울 코로나 확진자 절반 2030…"확진자 더 증가할 수도"
● 박범계 "수산업자 특별사면 문제 없어…장담한다"
● 靑 "도쿄올림픽 文 참석, 日이 답줘야…품격있는 외교해야"
● ICT 스타트업 19개사 지원…3년간 R&D자금 총 5억원
● '포르쉐 의혹' 박영수 특검 사의표명…"중도퇴직 죄송"
● 최재형 "정치 참여할 것…나머지 입장은 준비되면 말하겠다"
● 소상공인 92% "최저임금 노동계 요구안 1만800원 부담"
● 與, 재난지원금 전국민 지급론 다시 분출…대상 확대 가능성
● 얀센 백신 맞은 후 화이자·모더나 부스터샷 필요하나
● 국방장관 "성추행 대단히 부끄러워…분골쇄신 환골탈태 하자"
국제/해외
● 美 백악관, 10월 전 바이든·시진핑 만남 시사…"연내 美서 쿼드 정상회의"
● 중국 '세 자녀 정책'에도 도시 가정 4%만 셋째 희망
● 브라질서 중국 시노백 백신 불신 커져…'부스터샷' 필요성 논란
● 시진핑 "中 영원히 세력 확장 도모하지 않을 것"
● 美 태양광발전 헬리오젠 우회 상장…기업가치 20억弗 평가
● 머스크가 또…"버핏이 암호화폐 추천" 허위글 올렸다가 삭제
● 일본 6월 상중순 무역수지 2조9200억원 흑자..."3개월 만에 플러스"
● 中, 암호화폐 규제 강화에…채굴업체들 탈중국 러시
● 중국, 해외상장 규제 강화..."기업비밀 유출 경계"
● 홍콩의 호주산 랍스터 수입이 갑자기 50배 증가한 이유는
● 태국, 시노백 접종완료 의료진에 화이자 부스터샷 결국 접종키로
● 애플 목표가 170달러…JP모건 "아이폰13 출시 앞두고 상승 있을것"
● 베트남, 코로나 확산에 항공이동 제한
● 中, 대규모 전쟁 대비하나…전시 징병계획 최초 공개
● 이란 핵 고도화에 IAEA·서구권 "핵합의 복원 위협" 일제 비판
● 5월 일본 경기지수 2.6P 저하...기조판단 "개선" 유지
★코스피 마감★
7/7 KOSPI 3,285.34(-0.60%)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차익실현 매물(-),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소비 지표 둔화 및 차익실현 매물 속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유럽 주요국 증시는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경제 불확실성 등에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3,303.59(-1.62P, -0.05%)로 약보합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낙폭을 확대해 오전 중 3,285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서도 3,285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갔고, 장후반 낙폭을 더욱 키워 3,277.66(-27.55P, -0.8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한 끝에 결국 3,285.34(-19.87P, -0.60%)로 장을 마감.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지속 속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증세를 보인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아울러 전일 사상 최고치 경신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데다 삼성전자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지만 하락세를 보인 점도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특히, 카지노, 면세점, 영화, 항공, 여행 등 경제 재개 수혜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美 금리 하락 속 은행/보험, 국제 유가 약세 속 정유 등의 테마도 약세.
한편, 시장에서는 한국시간으로 오는 8일 오전 3시 6월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는 모습. 연방준비제도(Fed)가 6월 FOMC 회의에서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에 착수한 가운데, 이번 의사록에서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 등에 대한 언급이 나올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212명(국내 발생 1,168명, 해외 유입 44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 두번째로 많은 수치이며, 특히 수도권 확진비율이 80% 이상을 기록. 한편,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1차 접종자는 1,543만9,910명으로 인구 대비 접종률 30.1%를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상승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체로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425억, 8,350억 순매도, 개인은 1조1,65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0,127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4,710계약, 5,473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4원 상승한 1,138.1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5bp 하락한 1.41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8.0bp 하락한 2.03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9틱 상승한 110.19로 마감. 외국인이 6,338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자산운용은 3,040계약, 2,74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82틱 상승한 126.47로 마감. 외국인이 7,069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2,151계약, 2,52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삼성전자(-0.49%)가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하락했고, LG전자(-2.94%)도 호실적 발표에도 하락. 아울러 KB금융(-1.86%), 신한지주(-1.75%), 현대차(-1.69%), SK이노베이션(-1.62%), SK하이닉스(-1.20%), 삼성물산(-1.11%), 기아(-1.01%), POSCO(-0.88%), SK텔레콤(-0.79%), LG생활건강(-0.68%), 삼성바이오로직스(-0.59%), 현대모비스(-0.35%), 셀트리온(-0.19%), LG화학(-0.11%)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2.22%), NAVER(+1.95%), 삼성SDI(+0.2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보험(-1.45%), 금융업(-1.34%), 섬유의복(-1.33%), 건설업(-1.24%), 전기가스업(-1.17%), 운수장비(-1.15%), 증권(-1.14%), 유통업(-1.13%), 은행(-0.96%), 철강금속(-0.95%), 기계(-0.94%), 운수창고(-0.84%), 화학(-0.71%), 음식료업(-0.71%), 통신업(-0.70%) 등이 하락. 반면, 종이목재(+5.69%), 서비스업(+0.54%), 의료정밀(+0.25%) 등 일부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3,285.34(-19.87P/-0.60%)
★코스닥 마감★
7/7 KOSDAQ 1,047.36(+0.23%) 연중 최고치 경신, 외국인 순매수(+), 코로나19 관련주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소비 지표 둔화 및 차익실현 매물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45.00(+0.04P, +0.00%)으로 강보합 출발. 이내 하락 전환한 지수는 1,042.42(-2.54P, -0.2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상승세로 방향을 잡은 뒤 오전 장 후반 1,050.31(+5.35P, +0.51%)까지 상승폭을 키워 고점을 형성. 1,050선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장후반 1,046선까지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1,047.36(+2.40P, +0.23%)으로 장을 마감. 연중 최고치 재차 경신.
외국인이 1,600억원 넘게 순매수한 가운데,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소식에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인 점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골판지 제조, 제지, 교육/온라인 교육 등 코로나19 수혜주들도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622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45억, 120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CJ ENM(-2.23%), 케이엠더블유(-1.68%), 휴젤(-1.28%), 알테오젠(-1.05%), 원익IPS(-0.92%), 스튜디오드래곤(-0.84%), 카카오게임즈(-0.79%), 리노공업(-0.53%), 솔브레인(-0.47%), 셀트리온헬스케어(-0.44%) 등이 하락. 반면, 씨젠(+13.81%), 천보(+9.32%), 엘앤에프(+4.71%), 제넥신(+4.42%), SK머티리얼즈(+2.58%), 펄어비스(+1.43%), 에코프로비엠(+1.02%), 셀트리온제약(+0.97%)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다소 우세. 정보기기(+1.83%), 의료/정밀 기기(+1.81%), 종이/목재(+1.69%), 제약(+1.47%), 화학(+0.82%), 인터넷(+0.73%), IT 부품(+0.72%), 소프트웨어(+0.67%), 컴퓨터서비스(+0.60%), 제조(+0.54%), IT S/W & SVC(+0.45%) 업종 등이 상승. 반면, 비금속(-2.10%), 방송서비스(-1.53%), 금속(-1.47%), 통신장비(-1.24%), 통신방송서비스(-1.22%), 오락/문화(-1.19%), 기계/장비(-1.05%), 금융(-0.76%), 기타 제조(-0.74%), 건설(-0.74%)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1,047.36P(+2.40P/+0.23%)
★중국, 일본, 대만 장마감 시황★
7월7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해외 상장 규제 강화 조치 및 건강관리업종 반등 속 상승.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508.59(-0.61%)로 하락 출발. 장 초반 3,504.47(-0.73%)에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여나갔음. 오전중 상승전환한 지수는 이후 상승폭을 더욱 키워나갔고 오후장 중반 3,557.88(+0.78%)에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3,553.72(+0.66%)에서 거래를 마감.
中 당국의 해외 상장 규제 강화 소식 및 건강관리업종 등을 필두로 반발매수세가 유입된 점 등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최근 중국 정부가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과 3개의 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인터넷 안보 심사에 들어가는 등 '빅테크'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날도 中 당국은 해외상장기업에 대한 조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발표했음. 한편, 일각에서는 이 같은 방침으로 해외 증시 투자자들이 본토 증시로 몰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작용하는 모습.
또한, 中 시노백 백신 관련 효과 논란 등에 전일 약세를 보였던 건강관리업종에 이날 반발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중국 국무원이 증권시장에서의 불법행위를 단속하기 위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한 점과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14차 5개년 순환경제 발전 계획과 관련한 통지를 발표한 점 등도 증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
한편, 이날 인민은행은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100억 위안 규모 매입했음. 만기가 도래한 물량이 300억 위안인 점을 고려할 시, 총 200억 위안의 자금이 순회수됐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의료 장비/보급, 화학, 기술장비, 금속/광업, 운수, 자동차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낙양몰리브덴(+8.58%), 하뭉텅스텐(+10.02%), 내몽고포두철강연합(+9.55%), 보산철강(+1.88%) 등이 상승. 반면, 페트로차이나(-2.48%), 시노펙상해석유화학(-1.78%) 등이 하락 마감했음.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553.72P(+23.46P/+0.66%), 상해A지수 3,724.73P(+24.62P/+0.67%), 상해B지수 260.57P(+0.31P/+0.12%)
7월7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및 美 경제지표 부진 영향 등에 하락.
이날 일본 니케이지수는 28,262.40엔(-1.33%)으로 약세 출발. 장초반 28,161.75엔(-1.68%)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축소하며 오전 장중 28,434.99엔(-0.73%)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낙폭을 확대하며 오후 장중 28,260엔선을 밑돌던 지수는 다시 낙폭을 축소한 끝에 28,366.95엔(-0.96%)에서 거래를 마감.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NHK방송에 따르면 6일 기준 일본 전역에서 새롭게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는 도쿄도 593명을 포함해 1,670명으로 집계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지난밤 발표된 美 경제지표가 부진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지난밤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미국의 6월 비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0.1로 집계돼 전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64.0에서 둔화됐음. 이는 시장 예상치 대비로도 밑돌는 수치임. 정보제공업체 IHS 마킷이 발표한 6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계절 조정치)도 64.6으로 최종 집계돼 전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70.4에서 하락했음. 이는 앞서 발표된 예비치인 64.8보다 소폭 하락한 수치임.
중국의 자국기업 규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점도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 금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해외 증시에 상장하거나 상장할 자국 기업들에 대한 본격적인 관리 감독 강화에 나섰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이번 조치를 미국이 중국 기업을 옥죈 데 대한 대응으로 미중 관계 악화 조짐으로 분석되고 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은행/투자서비스, 반도체, 자동차, 전기전자, 통신서비스, 유틸리티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인펙스홀딩스(-3.73%), 신에쓰화학공업(-3.27%), 신닛폰제철(-2.60%),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1.99%), 소프트뱅크그룹(-0.62%), 도요타자동차(-0.61%) 등이 하락.
마감지수 : 니케이225 28,366.95엔(-276.26엔/-0.96%)
▶대만 장마감 요약
7월7일 대만 가권지수는 美 경제지표 부진 및 中 규제 우려 영향 등에 소폭 하락.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17,901.25(-0.07%)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상승전환하며 17,933.62(+0.11%)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전 장중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하락으로 방향을 잡은 뒤 낙폭을 확대하며 오후 장중 17,756.82(-0.87%)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축소한 끝에 결국, 17,850.69(-0.35%)로 거래를 마감.
지난밤 발표된 美 경제지표가 부진한 점이 대만 가권지수에 하락요인으로 작용. 전미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6월 비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0.1로 집계돼 전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64.0에서 둔화됐음. 정보제공업체 IHS 마킷이 발표한 6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계절 조정치)도 64.6으로 전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인 70.4에서 하락했음.
중국의 규제 우려가 커진 점도 대만 가권지수에 부정적으로 작용. 언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중앙정부인 국무원은 6일(현지시간) 밤 공동으로 '증권 위법 활동을 엄격히 타격하는 데 관한 의견(지침)'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당•정은 지침에서 향후 국무원이 자국 주식회사가 외국에서 주식을 발행해 상장하는 것에 관한 특별 규정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자국 주무 기관의 감독 책임을 확실하게 할 것이라고 밝힘.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운수, 금속/광업, 화학, 에너지-화석연료, 재생에너지, 경기관련 소비재, 자동차, 제약 업종 등이 하락한 반면, 경기관련 서비스업, 소매, 보험, 식품/약품 소매, 부동산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혼하이 정밀(-1.29%), 라간 정밀(-1.13%), 미디어텍(-0.54%) 등이 하락한 반면, TSMC(+0.34%), UMC(+0.37%) 등은 상승.
마감지수 : 가권지수 17,850.69P(-62.38P/-0.35%)
● 대영포장(01416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 속 택배 및 배달 용기 수요 급증 기대감 등에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엔에이치스팩18호(365590) :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프리닉스(주) 흡수합병 계획 철회 속 거래재개 첫날 상한가
● 바이오스마트(03846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이씨에스(06701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및 마켓컬리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휴먼엔(032860) : 투자사 MPC,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코비박' 판권 보유 기업 '팜 바이오테크' 지분 인수계약 체결 소식에 상한가
● 영풍제지(00674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 속 택배 및 배달 용기 수요 급증 기대감 등에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속 급등
● 바이오리더스(14276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엔에이치스팩16호(353190) :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속 급등
● 캐리소프트(31753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 시스웍(26962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YBM넷(05703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 링네트(04250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 엑세스바이오(95013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코리아에셋투자증권(190650) : 큐라티스, 국내 첫 mRNA 코로나19 백신 임상 기대감 속 KAI-열림헬스케어투자펀드를 통해 큐라티스의 주식 보유 부각에 급등
● 콤텍시스템(031820)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휴마시스(20547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씨젠(09653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알서포트(13137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 알파홀딩스(117670) : 투자사 美 온코섹, 머크사와 악성흑생종양 신약 임상3상 공동진행 및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 한국팩키지(03723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 속 택배 및 배달 용기 수요 급증 기대감 등에 카톤팩 전문 제조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 GH신소재(13050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태림포장(01128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 속 택배 및 배달 용기 수요 급증 기대감 등에 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속 급등
● 서전기전(189860)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탈원전 비판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소마젠(REG.S)(950200)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美 전역 대상 가정용 코로나19 진단서비스 출시 소식에 급등
● 천보(278280) : 5,000억원 이상 규모 2차전지 전해질 제조공장 건립 소식 속 급등
● 메가엠디(13375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 흥국에프엔비(18998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에 쿠팡/마켓컬리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신풍제지(002870)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1,212명) 급증 소식 속 택배 및 배달 용기 수요 급증 기대감 등에 제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장마감 특징종목 및 주요공시 | 제임스수석 | 2021/07/07 | |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제임스수석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