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글보기
일반회원 투자전략
HOME > 일반회원 투자전략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조회수 : 406
- 작성일 : 2021/07/06 18:27:27
- 필명 : 제임스수석
★장마감 주요이슈 및 뉴스 요약★
● 국내증시, 7/6 코스피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등에 상승, 사상 최고치 경신, 코스닥 외국인/기관 순매도 등에 7거래일만에 하락… 코스피 +12.00(+0.36%) 3,305.21, 코스닥 -2.37(-0.23%) 1,044.96
● 원/달러 환율, 위험자산 선호 심리 속 이틀째 하락... -2.1원(-0.19%) 1,129.7원
● 아시아 증시, 중국(-0.11%), 일본(+0.16%), 홍콩(-0.25%), 대만(-0.03%)
● 신규확진 746명, 1주일 연속 700명 이상…지역·해외 동시확산
● 권덕철 "델타 확진자 증가폭 매주 2배 커져…방역 갈림길"
● 1차접종 5만여명↑ 총 1천540만1천361명…접종률 130일만에 30% 넘어
● 델타형 변이 일주일새 153명 늘어…최근 1주 변이 검출률 50.1%
● 씨티 "ECB 테이퍼링, 유로존 주변국 국채에 위험"
● 웰스파고 "美 금리, 중대한 반등 불가피…기술주 심판의 날"
● WSJ "컨테이너 운임 고공행진 연내 지속…두 달 전 예약해야"
● 사우디에 맞서는 UAE…흔들리는 OPEC 우정?
● 美 백악관, OPEC+에 증산 합의 촉구
● 델타변이 확산에도 英, 마스크 벗고 거리두기 없앤다
● WSJ "지지부진했던 中증시…하반기 낙관론 '솔솔'"
● '中앞길 막지 말라' 시진핑, 신장 부대에 "용감히 전진" 주문
● 상반기에만 15% 늘었다…'위안화 채권' 사는 글로벌 투자자들
● RBA, QE 최소 11월 중순까지 연장…9월부터 테이퍼링
기업/산업
● 노무라證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5兆…주가 더 간다"
● 韓 조선업, 올해 상반기 선박 수주 세계 2위…1위 中 추격
● 닛케이 "TSMC 3나노 칩 내년 하반기 양산"…삼성전자 앞서나
● '산업의 쌀' MLCC도 쇼티지 겪을까···델타변이 나비효과
● 너무 질렀나···LG화학 목표주가 낮춘 유진투자증권
● 中 의존도 낮춰라…배터리 업계, 해외 광물 확보 잰걸음
● 반도체 수급난 여전…현대차 브라질 공장, 결국 가동 중단
● "셀트리온, 2분기 실적 기대치 밑돌 것…하반기 성과 주목"
● 리더스 기술투자 "제넨셀, 코로나19 치료제 라이선스 아웃 추진"
● 삼성 '갤Z폴드3', 내달 11일 공개 전망…가격 낮아질 듯
● SK이노베이션 물적분할 이후...증권가 '저평가' 보고서 잇따라
● 넥슨, 초대작급 신작 '프로젝트 HP' 공개... 프리 알파 테스트 진행
● 유안타증권 "크래프톤 상장일 유통 가능 물량 33.5%···외국인 매물 출회 우려"
● 하락세 멈춘 생보사 공시이율…운용이익률도 3% 유지
● 한화종합화학, 수소 혼소 발전 기업 PSM·ATH 인수 완료
● 두산퓨얼셀, STX와 손잡고 연료전지 스마트팜·충전소 사업 진출
● 대우건설 품은 중흥그룹 "세계 최고 부동산 플랫폼으로 키울 것"
● 신세계인터, 中 상류층 시장 정조준…온라인·호텔 다 잡는다
● 지엔티파마, 연내 IPO 추진...상장주관사 신한금융투자 선정
● 인스코비, 200억 CB 발행..."바이오 메디테크 플랫폼 도약"
● 진시스템, 코로나19 분자진단 시스템 사우디 판매 허가
● 현대로템, 탄자니아 철도시장 진출‥3300억원 규모 사업 낙찰
● LG전자, 연내 11개 국가에 클라우드 콜센터 도입
● "최대 2만명 참여하는 강의 솔루션도 진출" LG유플, 'U+라이브클래스' 선보여
● 넥슨, 日서 미스터리 홈페이지 오픈…카운터사이드 출시 가능성
● 휴온스바이오파마, 유럽시장 공략 속도낸다
● 영업정지 면한 남양유업…세종시, 과징금 8.2억원 부과
● 6월 임플란트 수출 '역대 최고'…주요 임플란트社 실적 기대
● 아이진, 심근허혈 치료제 국내 임상 2상 투약 완료
● 삼양사, 식물 추출 이소소르비르 생분해 플라스틱 세계 최초 개발
● SK리츠, 'SK사옥·116개 주유소' 인수자금 1兆 조달
● 아시아나항공, 추석 연휴에 하와이行 부정기편 띄운다
● 세원이앤씨, 게임 퍼블리싱 신사업 추진…"게임 전문가 영입해 게임사업본부 신설
● 쿠팡이츠, 서울 송파구서 '퀵커머스' 서비스 시작
● 현대중 노조 전면파업.. 크레인 점거 고공농성 돌입
● 와이바이오로직스, 프랑스 제약그룹과 1,164억원 규모 면역항암제 기술수출 계약
● 세계 3대 럭셔리 리조트 '카펠라', 한국 첫 진출
● KTB투자증권, 유진저축은행 지분 51% 확보해 최대주주로
● '보안 스타트업' 에버스핀 코스닥行 채비
경제/증시/부동산
● 코스피 7거래일만에 사상 최고치..공포지수는 2년래 최저치
● 주도주 없는데 거래대금 증가…코스피 상승 계속할까
● "美 중장기 국채 커브 플래트닝 압력 점차 강해질 것"
● '코로나 속 K-푸드 열풍' 상반기 농식품 수출 41.5억 달러로 역대 최대
● 고액자산가 64% "올 '서머랠리' 온다"
● 치솟는 밥상물가에...엥겔지수 21년 만에 최고
● 7일부터 법정 최고금리 연 20%포인트로 인하
● 5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16.1조원…역대 최대
● 中企 "하반기 은행 대출금리 인상·상환 요구할까 우려"
● 은성수, 은행 코인거래소 면책 재차 거부…"그게 은행 할 일"
●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3년물 연 1.465%
● 반포 재건축발 전세난, 서초 넘어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나
● '세종 50%·전국 50%'인 세종시 청약제도…정부, 개편 검토
정치/사회/국내 기타
● 백신 접종하고도 확진…국내 '돌파감염' 총 81건
● 서울 320명 신규 확진…확진율 1.4%로 급등
● 홍남기, 피치 연례 협의... "올해 4.2% 성장...델타 변이 대응 부스터샷 도입 검토
● 김 총리 "최대 고비…방역수칙 한번만 어겨도 10일 영업정지"
● 이스라엘, 백신 급한 韓에 화이자 70만회분 공급
● 제주 확진자 10명 중 3명 변이 바이러스…확산에 방역당국 긴장
● 靑정무수석 "추경안, 7월 안에 국회 처리 기대"
● 이낙연 "땅 부자 증세는 불가피"...'토지공개념 3법' 시동
● 윤희숙 "文정권 탈레반… 부동산 시장 망가졌는데도 수정 안 해"
● 이재명 "공공주택 늘리고 국토보유세 부과해야 부동산 정상화"
● 초복 앞두고 삼계탕 데웠다…"올반 간편식 판매 81% 쑥"
● 靑, '문대통령 도쿄올림픽行 타진' 日보도에 "정해진 것 없다"
● 제주 제2공항 건설 환경부 전략환경평가 결과 주목
● 윤석열·안철수, 내일 오찬회동…야권통합 논의할듯
● '한국판 뉴딜'에 청년 끼운다…내년 예산 10조+α 늘어날 듯
● 북 비상방역 장기화에도 백신·식량 협력 녹록지 않다
국제/해외
● "2025년 중국 노년인구 3억명…실버산업 주목해야"
● 주중 러 대사, 中공산당 전시관 찾아 찬사…'밀월' 강조
● 英 최대 반도체업체 中 자본에 '헐값' 매각…"심각한 국가안보 위협"
● 英 4위 슈퍼마켓 모리슨스 인수전, 사모펀드간 10조원 '錢의 전쟁'
● 유럽 트럭 '빅3', EV 충전 네트워크 JV 설립…6700억원 투자
● 상반기 MSCI 중국 지수 1.6% 상승에 그쳐…하반기 나아질까
● 中 IT기업의 이용자 개인정보 수집, 애플에 막혔다
● 1천조 원 넘은 中 시중은행 외화예금…"골칫거리 됐다"
● 아마존 설립한날 CEO 자리서 내려온 베이조스, 20일 동생과 우주여행 간다
● 독일, 영국 등 5개국 입국 제한 완화
● 베트남 코로나 신규 확진 급증…하루에 1천명 넘어
● 사장도 부서도 없다…블록체인 적용 '다오' 기업, 美 첫 인정
● "중국 당국, 디디추싱 美 상장 전 연기 제안"
● 5월 일본 실질 소비지출 전년비 11.6%↑...3개월째 증가
● 스페인, 코로나 재확산에 야간 영업제한 부활
● 호주 기준금리 0.1% 동결…9월 이후 양적완화 규모 축소
● 애플 사생활보호에 안드로이드로 이동하는 모바일 광고
● 中기업 '맞춤형 서비스' 경쟁…알리바바, 메이퇀에 도전장
● 올해 상반기 M&A 1천966조원 규모…"1980년 집계이후 최대"
● "NFT 올해 상반기 거래액 2조8천억원대"
● 포르쉐AG, 하이퍼카 제조사 '부가티-리막' 합작사 설립
★코스피 마감★
7/6 KOSPI 3,305.21(+0.36%) 사상 최고치 경신, 경제 재개 기대감 지속(+), 기업 실적 기대감(+),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로 휴장한 가운데, 유럽 주요국 증시는 경제 지표 호조 등에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3,295.44(+2.23P, +0.07%)로 강보합 출발. 장중 저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장초반 3,300선을 넘어선 뒤 점차 상승폭을 확대해 오전 중 3,313.51(+20.30P, +0.62%)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3,300선 중후반대에서 상승 흐름을 이어가던 지수는 장후반 3,300선까지 밀려나기도 했지만, 장 막판 재차 상승폭을 키워 결국 3,305.21(+12.00P, +0.36%)로 장을 마감.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7거래일만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 경신.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우려에도 영국 ‘코로나19’ 봉쇄 조치 해제 방침, 독일 해외입국 제한 조치 완화 등 글로벌 경제 재개 기대감이 지속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아울러 오는 7일 삼성전자, LG전자 잠정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업 실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와 두산중공업 등 원자력발전 테마를 중심으로 기계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짐.
다만, 고점 부담감 및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우려 지속, 신풍제약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실망감 속 제약/바이오주 약세 등에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746명(국내 발생 690명, 해외 유입 56명)으로 집계됐음. 주말 영향에도 불구하고 일주일째 700명 이상을 기록. 한편,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1차 접종자는 1,540만1,361명으로 인구 대비 접종률 30.0%를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상승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체로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38억, 698억 순매수, 개인은 2,92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449계약, 1,039계약 순매수, 기관은 1,639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1원 하락한 1,129.7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3bp 상승한 1.465%,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0bp 상승한 2.11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과 동일한 110.00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7,964계약 순매수, 외국인, 은행은 4,846계약, 3,430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7틱 하락한 125.65로 마감. 외국인이 3,937계약 순매도, 금융투자, 은행은 2,156계약, 99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삼성SDI(+3.46%), SK이노베이션(+2.40%), LG전자(+1.80%), SK하이닉스(+1.63%), 삼성전자(+1.00%), LG생활건강(+0.80%), 삼성물산(+0.75%), 현대모비스(+0.53%), LG화학(+0.34%), 카카오(+0.32%) 등이 상승. 반면, 셀트리온(-2.20%), 삼성바이오로직스(-1.96%), POSCO(-0.72%), KB금융(-0.37%), SK텔레콤(-0.31%), 기아(-0.22%), NAVER(-0.12%) 등은 하락. 현대차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기계(+1.87%), 전기전자(+1.21%) 업종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비금속광물(+0.92%), 화학(+0.78%), 유통업(+0.74%), 제조업(+0.48%), 은행(+0.46%), 통신업(+0.32%), 음식료업(+0.31%), 전기가스업(+0.31%), 서비스업(+0.25%) 등이 상승. 반면, 의약품(-2.98%), 운수창고(-0.39%), 철강금속(-0.36%) 등 일부 업종이 하락.
마감 지수 : KOSPI 3,305.21(+12.00P/+0.36%)
★코스닥 마감★
7/6 KOSDAQ 1,044.96(-0.23%) 차익실현 매물(-), 제약/바이오株 약세(-),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47.60(+0.27P, +0.03%)으로 강보합 출발. 이내 하락 전환한 지수는 1,045선까지 밀려나기도 했지만, 반등에 성공하며 오전 중 1,049.24(+1.91P, +0.18%)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점차 낙폭을 키워 장후반 1,043.51(-3.82P, -0.36%)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1,044.96(-2.37P, -0.23%)으로 장을 마감. 7거래일만에 하락.
연중 최고치 경신 행진에 따른 부담감 속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가운데, 신풍제약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실망 등에 따른 제약/바이오株 약세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70억, 626억 순매도, 개인은 1,374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스티팜(-6.76%), 펄어비스(-4.46%), 씨젠(-4.01%), 제넥신(-2.80%), CJ ENM(-2.70%), 셀트리온제약(-1.85%), 휴젤(-1.67%), 셀트리온헬스케어(-1.63%), 엘앤에프(-1.11%), 알테오젠(-1.04%) 등이 하락. 반면, SK머티리얼즈(+2.71%), 에이치엘비(+1.63%), 케이엠더블유(+1.51%), 솔브레인(+1.10%), 원익IPS(+0.72%), 리노공업(+0.37%), 에코프로비엠(+0.33%), 카카오게임즈(+0.13%), 스튜디오드래곤(+0.10%)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등락이 엇갈림. 제약(-1.83%), 운송(-1.57%), 방송서비스(-1.34%), 통신방송서비스(-0.89%), 기타서비스(-0.82%), 비금속(-0.78%), 인터넷(-0.73%), 섬유/의류(-0.65%), 디지털컨텐츠(-0.64%), 유통(-0.46%), 제조(-0.43%), 의료/정밀 기기(-0.35%)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종이/목재(+2.09%), 출판/매체복제(+1.09%), 통신서비스(+0.87%), 통신장비(+0.82%), 컴퓨터서비스(+0.79%), 운송장비/부품(+0.76%), 반도체(+0.57%), 기계/장비(+0.56%), IT H/W(+0.55%), 건설(+0.50%)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1,044.96P(-2.37P/-0.23%)
★중국, 일본, 대만 장마감 시황★
7월6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中 시노백 백신 효과 논란 소식 등에 약보합.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533.13(-0.03%)에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전 장중 3,538.35(+0.11%)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하락으로 방향을 잡은 지수는 오후 장중 3,496.93(-1.06%)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장막판 낙폭을 대부분 만회하며 3,530.26(-0.11%)에서 거래를 마감.
中 시노백 백신 관련 효과 논란이 부각된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현지시간으로 5일 외신에 따르면, 중국 시노백의 코로나19 백신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의료진에게 화이자 백신을 추가접종 해야 한다는 태국 보건부 내부 문건이 SNS를 통해 광범위하게 공유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당 문건에 따르면, "의료진에게 화이자 백신을 추가접종 해선 안 된다"며, "(추가접종을 하면) 시노백 백신이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익명의 정부 관계자 의견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중국 인민은행이 3거래일 연속 유동성을 회수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금일 인민은행은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100억 위안 규모의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매입했음. 만기가 도래한 물량이 300억 위안인 점을 고려하면 인민은행이 총 200억 위안의 자금을 순회수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인민은행은 앞서 5일과 2일에도 7일물 역레포 매입을 통해 각각 200억 위안을 자금을 순회수 했으며, 금일까지 3거래일간 총 600억 위안을 순회수했음.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항공, 자동차, 철강 업종 등이 하락한 반면, 은행, 증권, 보험 업종 등이 상승. 종목별로는 광주자동차(-2.95%), 보산철강(-0.67%), 중국동방항공(-0.60%), 중국국제항공(-0.53%) 등이 하락한 반면, 중국인수보험(+2.94%), 해통증권(+1.06%), 농업은행(+0.33%) 등이 상승.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530.26P(-4.06P/-0.11%), 상해A지수 3,700.12P(-4.32P/-0.12%), 상해B지수 260.25P(+2.56P/+0.99%)
7월6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5월 실질 소비지출 호조 속 강보합.
이날 일본 니케이지수는 28,677.95엔(+0.28%)으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하락전환하며 28,587.61(-0.04%)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전환했고, 상승폭을 확대하다 오전 장중 28,748.23엔(+0.52%)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축소한 끝에 결국, 28,643.21엔(+0.16%)에서 거래를 마감.
일본 니케이지수는 5월 실질 소비지출 호조 속 상승하는 모습. 일본 총무성은 금일 발표한 5월 가계조사에서 2인 이상 가구의 실질 기준 소비 지출이 28만 엔(약 285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6% 증가했다고 밝힘. 시장 예상 중앙치는 10.9% 증가인데 실제로는 이를 0.7% 포인트 웃돌았으며, 가계지출은 3개월 연속 증가했음. 다만 이는 지난해 폭락으로 인한 기저효과로 알려짐. 아울러, OPEC+가 올해 8월 이후 생산 정책을 둘러싸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소식 속 원유 선물이 상승세를 보임. 이에 일본증시 내 에너지주가 상승세를 보였고, 원유 상승 수혜가 기대되는 상사주들도 상승세를 보임.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폭을 제한. NHK방송에 따르면 5일 일본 전역에서 새롭게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는 도쿄 342명을 포함해 1,030명(오후 6시30분 기준)으로 집계된 것으로 알려짐. 신규 확진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오는 월요일 기준으로 따지면 도쿄 등지의 긴급사태가 해제된 지난달 21일 800명대로 단기 바닥을 찍은 뒤 2주 연속으로 다시 1천명 선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짐.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에너지-화석연료, 운수, 부동산, 금속/광업, 유틸리티, 산업서비스, 음식료, 기술장비 업종 등이 상승. 종목별로는 소프트뱅크그룹(+1.00%), 도요타자동차(+0.23%),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0.48%) 등이 상승.
마감지수 : 니케이225 28,643.21엔(+45.02엔/+0.16%)
▶대만 장마감 요약
7월6일 대만 가권지수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약보합 마감.
이날 대만 가권지수는 17,929.22(+0.06%)에서 강보합 출발. 장초반 18,008.37(+0.50%)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반납하며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장막판 낙폭을 확대하며 17,895.78(-0.13%)에서 저점을 형성한 끝에 17,913.07(-0.03%)에서 거래를 마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점이 대만 가권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전일 대만 가권지수가 1% 넘게 강세를 보이면서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이에 따른 고점 인식에 금일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아울러 중국, 홍콩 증시도 하락세를 보이는 등 일부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부진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은행, 반도체, 전자, 정유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이노룩스 디스플레이(-2.58%), 퉁 호 제강(-2.44%), AU 옵트로닉스(-2.22%), 라간 정밀(-0.96%), 혼하이 정밀(-0.43%) 등이 하락.
마감지수 : 가권지수 17,913.07P(-6.26P/-0.03%)
● 서전기전(189860)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탈원전 비판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인바이오젠(101140) : 관계사 하임바이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예방 물질 개발 성공 소식에 상한가
● 픽셀플러스(087600) : 폴라리스웍스와 자동차용 VGA 센서 양산 예정 소식 등에 급등
● 한전산업(130660)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탈원전 비판 소식 속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한국비엔씨(256840) : 안트로퀴노놀, 대만 FDA 코로나19 치료목적 긴급사용승인 획득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뉴프렉스(085670) : 내년도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급등
● 아이엠(101390) : 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완료 속 급등
● 이연제약(102460) :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생산 허브 도약 기대감 재부각 등에 급등
● 골프존뉴딘홀딩스(121440) : 자회사 골프존, 대법원서 카카오VX·에스지엠과 특허침해 소송 최종 승소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에이루트(096690) : 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 한전기술(052690)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탈원전 비판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로지시스(067730) : 한은 CBDC 모의실험 연구 사업 입찰 마감을 일주일 앞두고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맘스터치(220630) : 최대주주 엑시트 가능성 부각 속 급등
● 신흥에스이씨(243840) : 원통형/각형 전지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급등
● 일진파워(094820)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탈원전 비판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코디엠(224060) : 정치/인맥(이낙연)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 버킷스튜디오(066410) : 인바이오젠, 관계사 하임바이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예방 물질 개발 성공 소식 속 동사가 인바이오젠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 NE능률(053290) :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속 수도권 전면등교 차질 우려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장마감 특징종목 및 주요공시 | 제임스수석 | 2021/07/06 | |
★이재상의 굿모닝 주요뉴스 | 제임스수석 | 2021/07/07 |